디렉토리분류

소수박물관 소장 시판 일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510
한자 紹修博物館所藏詩板一括
영어공식명칭 Bundle of Printing Woodblocks that is Carved Poems in the Possession of Sosu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80[청구리 34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장처 소수박물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80[청구리 346]지도보기
성격 시판
재질 나무
소유자 소수박물관
관리자 소수박물관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소수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시 판목.

[개설]

소수박물관 소장 시판 일괄(紹修博物館所藏詩板一括)소수박물관이 기증받은 각종 시판이다. 조선 전기의 학자 홍적(洪迪)[1549~1591]의 시 5판, 금응석(琴應石)[1508~1583]의 시 5판, 송나라 때 악비(岳飛)가 북벌하러 가는 장준(張浚)을 전송하며 지은 시 2판, 조선시대의 문인 이태(李迨)[1483~1536]를 비롯하여 왕유(王維)·잠삼(岑參)·유장경(劉長卿)·위응물(韋應物)·송지문(宋之問) 등이 지은 유명한 당시(唐詩) 6판, 「임헌책사십운(臨軒策士十韻)」 1판이 전하고 있다.

[형태]

소수박물관 소장 시판 일괄 가운데 당 시판은 모두 초서로 쓰였다. 크기는 유장경 시판이 세로 110㎝, 가로 45㎝, 이태의 시판이 세로 115㎝, 가로 48㎝, 잠삼의 시판이 세로 114㎝, 가로 47㎝, 위응물의 시판이 세로 110㎝, 가로 46㎝, 왕유의 시판이 세로 116㎝, 가로 44㎝, 송지문의 시판이 세로 116㎝, 가로 47㎝이다. 크기로 보아서 병풍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홍적의 시판은 5판으로 역시 초서로 작성되었으며, 크기는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평균 세로 30㎝, 가로 72㎝이다. 금응석 관련 시판의 크기는 세로 93㎝, 가로 45㎝이다. 병풍용이기 때문에 일반 목판보다 컸음을 알 수 있다. 악비의 시판은 글쓴이를 알 수 없다. 행서와 초서를 함께 썼으며, 크기는 세로 117㎝, 가로 38㎝이다. 「임헌책사십운」 시판은 해서체로 쓰였으며, 크기는 세로 26㎝, 가로 68㎝로 작자 및 전문을 파악하기 어렵다.

[특징]

당 시판 가운데 유장경의 「탄금(彈琴)」 시판에 새겨진 서문을 보면, 당대 시인들의 시를 판각한 것은 홍적이며, 유수원(柳秀源)이 집안의 보물로 간직하였다고 한다. 금응석 관련 시판은 금응석의 조부였던 금휘(琴徽)가 지방관으로 내려갈 때 당대 문학으로 명망이 높았던 서거정(徐居正)·이승소(李承召)·김종직(金宗直) 등이 전별시를 써주어, 시첩으로 만들었다. 이후 후손 금응석이 금휘의 유풍을 전하고자 이 시첩을 병풍으로 제작하고, 이황(李滉)에게 서문과 차운시를 부탁하였다. 이때가 1564년(명종 19)이며, 당시에 시판도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황의 차운시가 새겨진 목판 말미에 ‘정축윤삼월일중간(丁丑閏三月日重刊)’이란 간기로 보아서 현전하는 목판은 후대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악비의 시판은 송나라 명장 악비가 장준이 북벌하러 갈 때 전송하며 쓴 시를 판각한 것이다. 글쓴이를 알 수 없지만 『송자대전(宋子大全)』 수차(隨箚) 11권에 송시열(宋時烈)이 악비가 장준에게 보낸 시 28편을 새겼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송시열이 판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홍적의 시판은 홍적 및 그와 관련된 인물의 시를 새긴 것이다. 소장된 시의 작자는 홍적이며, 홍적이 그의 벗 안경창(安慶昌)에게 증여한 것이다. 현전하는 홍적의 『하의유고(荷衣遺稿)』와 비교해 보면 시제가 확인된다.

[의의와 평가]

소수박물관 소장 시판 일괄은 16~17세기 영주 지역 학자들의 학풍과 교유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