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교육청 영주선비도서관의 주부독서회에서 매년 발간하는 문학 동인지. 『글동네』는 문학과 독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경상북도교육청 영주선비도서관 주부독서회가 1990년에 창립되어, 창립 이듬해인 1991년부터 매년 12월 발간한 문학 동인지이다. 경상북도교육청 영주선비도서관 주부독서회는 1990년 3월 28일에 경상북도립 영주공공도서관 주부독서회라는 명칭으로 발족하였으며...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적동리에 있는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기관. 영주소방서는 1979년에 개소하였으며, 영주시 및 봉화군 일대를 담당하고 있다. 영주소방서는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경상북도 영주시 및 봉화군 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8월 17일 영주소방서와 가흥파출소를 개소했다. 1989년 1월 담당구역이 영주...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시민참여 문화예술 창작 및 소통 공간. 148아트스퀘어는 1970년에 건립되었던 옛 영주 연초제조창을 리모델링하여 구축된 공간으로, 영주시민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고자 만들어졌다. 148아트스퀘어는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추진된 사업이다.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2017년 11월 2...
-
개항기에 제작된 『1872년 지방지도』에 수록된 영천군·순흥도호부·풍기군 지도. 『1872년 지방지도』는 조선 정부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서양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필사본 회화식 채색지도책이자, 국가 주도로 제작된 전국 단위의 군현지도에 해당하는데, 영주 지역의 지도로는 「영천군지도」·「순흥부지도」·「풍기군팔면지도」가 있다. 고종의 즉위로 권력을 잡은...
-
1919년 3월 21일부터 1919년 4월 11일까지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1919년 서울에서 비롯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무렵 영주 지역에서도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영주 지역의 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영주면 만세시위운동을 시작으로 1919년 4월 9일 풍기면 만세시위운동, 1919년 4월 11일 장수면 만세시위운동으로 이어졌다....
-
1919년 3월 21일부터 1919년 4월 11일까지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1919년 서울에서 비롯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무렵 영주 지역에서도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영주 지역의 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영주면 만세시위운동을 시작으로 1919년 4월 9일 풍기면 만세시위운동, 1919년 4월 11일 장수면 만세시위운동으로 이어졌다....
-
1919년 3월 21일부터 1919년 4월 11일까지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1919년 서울에서 비롯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무렵 영주 지역에서도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영주 지역의 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영주면 만세시위운동을 시작으로 1919년 4월 9일 풍기면 만세시위운동, 1919년 4월 11일 장수면 만세시위운동으로 이어졌다....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에 있는 전통시장 공동브랜드. 영주365시장은 2016년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에 선정된 영주시의 전통시장 공동브랜드로, 서로 연접한 3개 시장[영주골목시장, 선비골전통시장, 영주문화시장]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은 사업이다.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이란 전통시장을 지역 고유의 자원[관광·문화·예술·특산품]과 연계한 특화시장으로 육성하는...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영주 지역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서 전개된 남한과 북한 간 전쟁. 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었고,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으로 종결되었다. 6.25전쟁 기간 영주 지역에서 치러진 주요 전투로는 풍기영주지구 전투와 남대리지구 전투가 있다. 1945년 8월 15일 우리 민족은 38선을 경계로...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KT 산하 영주 지역 지사. KT 영주지사는 KT의 영주 지역 사업소이다. KT는 전기통신사업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1981년 12월 10일,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 부문 공사화 진행 계획에 따라 ‘한국전기통신공사’라는 명칭으로 설립된 공기업의 후신이다. 한국전기통신공사는 1991년 한국통신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2002년 8월에는 민간...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KT 산하 영주 지역 지사. KT 영주지사는 KT의 영주 지역 사업소이다. KT는 전기통신사업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1981년 12월 10일,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 부문 공사화 진행 계획에 따라 ‘한국전기통신공사’라는 명칭으로 설립된 공기업의 후신이다. 한국전기통신공사는 1991년 한국통신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2002년 8월에는 민간...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KT 산하 영주 지역 지사. KT 영주지사는 KT의 영주 지역 사업소이다. KT는 전기통신사업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1981년 12월 10일,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 부문 공사화 진행 계획에 따라 ‘한국전기통신공사’라는 명칭으로 설립된 공기업의 후신이다. 한국전기통신공사는 1991년 한국통신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2002년 8월에는 민간...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에 있는 담배를 제조하는 공기업. KT&G 영주공장은 KT&G가 운영하는 7개 공장 중 한 곳이다. KT&G(케이티앤지)는 원래 담배와 인삼을 전매하던 전매청에서 출발한다. 국가기관이었던 전매청은 1987년 공기업으로 전환하면서 정부투자기관인 한국전매공사로 발족했고, 1988년 12월 한국담배인삼공사로 개칭하였다. 1997년 10월에는 「공기업의경영구조개선및...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일원에 조성된 농공단지. 영주휴천농공단지는 1997년 영주시 적서동에 조성되었다. 농공단지는 1984년 시행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법률 제3689호, 1983년 12월 31일 제정]에 따라 농촌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소득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를 뜻한다. 영주휴천농공단지는 영주 지역 농촌 유휴인력 활용과 시가지 환경개선 등을 통해 지역 경제...
-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농업인의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농업협동조합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이 목적인 주식회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 농업협동조합은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 및 이익과 관...
-
경상북도 영주시 상줄동에 있는 IT산업 분야에 사용하는 특수가스를 생산·판매하는 기업체. SK머티리얼즈는 1982년 대백물산으로 설립되었다. 영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첨단 IT 소재용 특수가스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는 1980년대 이전까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전자산업 소재의 국산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해 내고자 설립되었다. SK머티리얼즈는 1982년 11월 1...
-
경상북도 영주시 상줄동에 있는 IT산업 분야에 사용하는 특수가스를 생산·판매하는 기업체. SK머티리얼즈는 1982년 대백물산으로 설립되었다. 영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첨단 IT 소재용 특수가스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는 1980년대 이전까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전자산업 소재의 국산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해 내고자 설립되었다. SK머티리얼즈는 1982년 11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