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국망봉에 있는 바위의 신자국 유래에 대한 이야기. 「나막신 신은 배충신」은 국망봉 바위의 신 자국과 관련된 지명유래전설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배충신(裵忠臣)은 조선시대 영주 출신의 배순(裵純)[1534~1614]을 가리킨다. 배순은 무쇠 장인으로서 1608년(선조 41) 선조가 승하하자 삼년상을 지냈다.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에는 배순의 충절을 기리는 배순...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국망봉에 있는 바위의 신자국 유래에 대한 이야기. 「나막신 신은 배충신」은 국망봉 바위의 신 자국과 관련된 지명유래전설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배충신(裵忠臣)은 조선시대 영주 출신의 배순(裵純)[1534~1614]을 가리킨다. 배순은 무쇠 장인으로서 1608년(선조 41) 선조가 승하하자 삼년상을 지냈다.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에는 배순의 충절을 기리는 배순...
-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나이준(羅以俊)[1602~1676]은 문과 급제 후 공조좌랑, 병조좌랑, 고부군수, 홍문관수찬 등을 지냈으며, 수성나씨(壽城羅氏) 가문의 영주 입향조이다. 나이준의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택우(宅于), 호는 매음(梅陰)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나경문(羅景文), 증조할아버지는 영릉참봉을 지낸 나응두(羅應斗), 할아버지는 나세겸(羅世謙), 아버지는...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과 안정면 사이에 있는 산. 주마산(走馬山)[516.2m]은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와 안정면 여륵리 사이의 봉우리이다. 예천군 감천면부터 남북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산줄기의 중앙부에 있다.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본래는 나치산 또는 고방산이라고 하였으나 676년(문무왕 16)에 의상대사가 영주 부석사(浮石寺)를 짓는데 세 번이나 전복되므로, 그것을 예방하기...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무신. 나태좌(羅泰佐)[1700~?]는 무과 급제 후 여러 무관직을 지냈다. 경종 연간 세제(世弟)였던 영조를 호위하였고, 무신난(戊申亂)이 일어났을 때는 토벌에 참전하는 등의 공을 세웠다. 나태좌의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화숙(和叔), 호는 이암(怡菴)이다. 수성나씨 영주 입향조인 증 이조참판 나이준(羅以俊)[1602~1676]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나...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나학천(羅學川)[1658~1731]은 문과 급제 후 병조좌랑·인동부사·좌승지·형조참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숙종 연간에는 남인으로 활발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였다. 나학천의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사도(師道), 호는 창주(滄洲)이다. 할아버지는 증 이조참판 나이준(羅以俊)[1602~1676],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나수종(羅壽宗), 어머니는 고령박...
-
영주 지역에서 불교 교리에 따라 예배 대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조형물. 불상(佛像)은 석가여래의 모습을 조형적인 형상으로 표현한 상(像)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상은 물론 보살상(菩薩像)·천왕상(天王像)·명왕상(明王像)·나한상(羅漢像) 등을 모두 포함한다. 불상은 기원전 2세기경에 인도의 간다라 지방에서 처음 만들어져,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 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김흠조(金欽祖)[1461~1528]는 예문관봉교·제주목사·장예원판결사 등을 지낸 문신이다. 1506년(중종 1) 사초(史草)를 열람한 이극돈(李克墩)[1435~1503]·유자광(柳子光)[1439~1512] 등에 대한 처벌과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화를 입은 김종직(金宗直)[1431~1492]·김일손(金馹孫)[1464~1498] 등에 대한 신원을...
-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오여은(吳汝檼)[1561~1633]은 문과 급제 후 사간원헌납, 홍문관전한 등을 지냈다. 오여은의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융보(隆甫), 호는 낙애(洛厓)·벽계(碧溪)이다. 할아버지는 오수정(吳守貞)이며, 할머니는 안관(安灌)[1491~1593]의 딸이다. 아버지는 경주부윤을 역임한 죽유 오운(吳澐)[1540~1617], 어머니는 허사렴(許士...
-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문신. 성기인(成起寅)[1674~1737]은 권두인(權斗寅)[1643~1719]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영주·봉화 지역 인사들과 교유하며 학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성기인의 자는 천상(天祥), 호는 낙애(洛厓),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헌납 성이성(成以性)[1595~1664], 할아버지는 성석하(成錫夏)[1625~1653], 아버지는...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서 발원하여 내성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낙화암천(落花岩川)은 경상북도 영주시를 흐르는 유로연장 29㎞, 유역면적 95.47㎢의 지방 2급 하천이다. 낙화암천은 현대에 명명된 지명으로 낙화암(落花巖) 또는 낙하암(落霞巖)이라는 바위에서 유래하였다. 한편, 『봉화군지』와 『순흥지』에는 “하천은 화천(花川)이라 하고, 곧 감계(鑑溪) 하류로 동애·모정을 지나고...
-
삼국시대부터 757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내기군(奈己郡)은 본래 백제의 영토였으나, 신라의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이 빼앗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이 내기군을 내령군(奈靈郡)으로 고쳤다. 내이군(奈已郡)·날이군(捺已郡)이라고도 부른다. 내기군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남간서당(南澗書堂)은 1654년(효종 5) 사계서당(泗溪書堂)으로 건립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이건이 이루어졌으며, 오랫동안 영주 지역 유림의 강학 및 교유 장소로 활용됐다. 남간서당은 영주중학교 우측 도로변 높은 대지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뒤편에는 보광사가 있다. 예로부터 이곳을 남간재라 불렀는데, 남간서당이 위치했기 때문에...
-
조선 전기 영주 지역에 지방관으로 부임한 문신. 주세붕(周世鵬)[1495~1554]은 1541년(중종 36)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향교를 수리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하는 등 향촌 교화에 힘썼다. 주세붕의 자는 경유(景遊), 호는 신재(愼齋), 시호는 문민(文敏),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고조할아버지인 진사 주유(周瑜)가 고려 멸망 이후 합천에 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대리(南大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남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남대, 텃골[기곡, 텃실], 짐또배기[짐때배기, 마지천리, 마흘천], 샛터[상신기], 소란[솔안, 송내], 중마[중리] 등이 있다. 남대리 명칭은 남대궐(南大闕)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 순흥으로 귀양 온 금성대군이 단종 복위를 위해 이곳에 모여...
-
1951년 1월 14일부터 19일까지 한국군과 북한군이 영주 부석면 남대리 일대에서 벌인 전투. 남대리지구 전투는 6·25전쟁 중인 1951년 1월 14일부터 19일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 일대에서 국군 제3군단과 인민군 제9사단 및 제31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남대리 일대는 경상북도·충청북도·강원도의 분기점으로 인근 지역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거점...
-
1951년 1월 14일부터 19일까지 한국군과 북한군이 영주 부석면 남대리 일대에서 벌인 전투. 남대리지구 전투는 6·25전쟁 중인 1951년 1월 14일부터 19일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 일대에서 국군 제3군단과 인민군 제9사단 및 제31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남대리 일대는 경상북도·충청북도·강원도의 분기점으로 인근 지역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거점...
-
일제강점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의병. 남두희(南斗熙)[1850~1924]는 1896년 청송의진(靑松義陣)의 우익장으로 활약하였다. 남두희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극중(極中), 이명으로 남두희(南斗凞)를 사용하였다. 1850년 1월 29일 지금의 청송군 현동면 거성리에서 남태치(南泰雉)와 선산김씨(善山金氏)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남두희는 지금의 경상북...
-
일제강점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의병. 남두희(南斗熙)[1850~1924]는 1896년 청송의진(靑松義陣)의 우익장으로 활약하였다. 남두희의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극중(極中), 이명으로 남두희(南斗凞)를 사용하였다. 1850년 1월 29일 지금의 청송군 현동면 거성리에서 남태치(南泰雉)와 선산김씨(善山金氏)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남두희는 지금의 경상북...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산림청 산하 지방행정기관. 영주국유림관리소는 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 산하기관이다. 남부지방산림청은 영남지방 3개 광역시, 2개도, 29개 시·군의 국유림을 경영·관리하고 있으며, 영주국유림관리소를 비롯해 산하에 5개 국유림관리소를 두고 있다. 영주국유림관리소는 경북 북부 지역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국민에게 쾌적한 녹지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산림청 산하 지방행정기관. 영주국유림관리소는 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 산하기관이다. 남부지방산림청은 영남지방 3개 광역시, 2개도, 29개 시·군의 국유림을 경영·관리하고 있으며, 영주국유림관리소를 비롯해 산하에 5개 국유림관리소를 두고 있다. 영주국유림관리소는 경북 북부 지역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국민에게 쾌적한 녹지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
-
초기 국가 시대부터 통일신라 말기까지 영주 지역의 역사. 영주 지역에는 진한(辰韓) 소국(小國) 가운데 하나인 기저국(己柢國)이 있었다는 학설이 제기되어 있다. 영주 지역은 소백산맥의 남북 지역을 연결하는 군사 및 교통의 요충지로 중시되었기 때문에 일찍부터 북방의 고구려나 남방의 신라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500년(소지마립간 22) 9월 신라의 소지마립간이 날이군(捺已郡)에...
-
경상북도 영주시 조암동과 휴천동을 연결하는 고개. 남산고개는 영주 시가지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영주시 조암동과 영주시 휴천동을 잇는 고개이다. 휴천3동행정복지센터에서 남산현대아파트 방면으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을 ‘남산고개’라 불러오고 있다. 예전에는 지금의 남산현대아파트, 영주시청, 지천마을 뒷산이 서로 이어져 있었으며 마을의 남쪽에 있다 하여 ‘남산’이라 불렸다. 1941년 7월...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남산초등학교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어린이’, ‘꿈을 키우는 창의적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행복한 어린이’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남산초등학교의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튼튼하게’이다. 남산초등학교는 1984년 3월 1일 남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2일 개교[초대 교장...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남산초등학교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어린이’, ‘꿈을 키우는 창의적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행복한 어린이’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남산초등학교의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튼튼하게’이다. 남산초등학교는 1984년 3월 1일 남산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5년 3월 2일 개교[초대 교장...
-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상필(南相弼)[1891~1972]은 1919년 4월 9일 안용호(安容鎬)[1884~1942] 등이 주도한 풍기면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었다. 남상필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대촌리 출신이다. 남상필은 고향에서 농사를 짓다가 1919년 4월 9일 영주군 풍기면 성내동 풍기장날에 같은 마을의 안용호·최성원(崔盛源)[1...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영주 지역 지사. 한국전력공사[KEPCO] 영주지사는 한국전력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12개 지사[1개는 직할] 중 한 곳이다. 한국전력공사는 「한국전력공사법」[법률 제3304호, 1980년 12월 31일 제정]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 전력자원의 개발·발전·송전·변전·배전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영주지사는 영주...
-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오여벌(吳汝橃)[1579~1635]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문과 급제 후 홍문관수찬·창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오여벌의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경허(景虛), 호는 남악(南岳)·경암(敬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의현감 오언의(吳彦毅)[1494~1566], 할아버지는 오수정(吳守貞)[1510~1574], 할머니는 부호군 안관(安瓘)[...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성언집(成彦楫)[1732~1812]은 과거 급제 후 관직에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향촌에서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에 주력하였다. 성언집의 자는 용여(用汝), 호는 남애(南厓),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세벽(成世璧), 할아버지는 성희인(成喜寅), 아버지는 성찬(成澯)인데, 모두 사환에 뜻을 두지 않고 재야에 은거하였다. 어머니는...
-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남영진(南永鎭)[1894~1920]은 같은 마을의 최성원(崔盛源)[1894~1926]·안용호(安容鎬)[1884~1942]와 함께 1919년 4월 9일 풍기면 만세시위운동을 일으켰다가,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남영진의 본관은 영양(英陽), 본적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이나 영주시 봉현면 대촌리에서 살았다. 남영진은 1...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서 발원하여 안정면에서 서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남원천(南院川)은 경상북도 영주시를 흐르는 유로연장 9㎞, 유역면적 93.61㎢의 지방 2급 하천이다. 남원천은 소백산맥을 넘어 다니던 손님들에게 숙식을 제공했던 남원(南院)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한편, 『여지도서』, 『팔도지도』, 『대동여지도』 등에는 ‘남천(南川)’이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것은 영주시 풍...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 영주영훈정(榮州迎薰亭)은 정종소(鄭從韶)가 외부에서 오는 사신을 맞이할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일제강점기 때 현 위치인 영주시 영주동으로 이건하였다. 영주영훈정은 영주시청에서 북쪽으로 3.29㎞ 거리에 있는 영주시의회 안에 있다. 영주시청 정문에서 시청로를 따라 약 1.6㎞ 이동 후, 영주우체국과 구성오거리를 지나 번영로를 타고 약 4...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권두문(權斗文)[1543~1617]은 1572년(선조 5) 문과 급제 후 내외 관직을 두루 역임한 문신이다. 권두문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이다. 아버지는 장악원정을 지낸 권유년(權有年), 어머니는 생원 권극상(權克常)의 딸 숙부인 안동권씨(安東權氏), 할아버지는 부장을 지낸 권담(權譚), 증조할아버지는 지릉참봉을...
-
186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권두문의 시문집. 『남천집(南川集)』은 권두문(權斗文)[1543~1617]의 시문집으로 1864년(고종 1)에 간행되었다. 권두문의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572년(선조 5)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평창군수·봉상시주부·사섬시정·통례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적들에게 포로로 잡힌...
-
186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권두문의 시문집. 『남천집(南川集)』은 권두문(權斗文)[1543~1617]의 시문집으로 1864년(고종 1)에 간행되었다. 권두문의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572년(선조 5)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평창군수·봉상시주부·사섬시정·통례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적들에게 포로로 잡힌...
-
186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권두문의 시문집. 『남천집(南川集)』은 권두문(權斗文)[1543~1617]의 시문집으로 1864년(고종 1)에 간행되었다. 권두문의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572년(선조 5)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평창군수·봉상시주부·사섬시정·통례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적들에게 포로로 잡힌...
-
삼국시대부터 757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내기군(奈己郡)은 본래 백제의 영토였으나, 신라의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이 빼앗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이 내기군을 내령군(奈靈郡)으로 고쳤다. 내이군(奈已郡)·날이군(捺已郡)이라고도 부른다. 내기군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
757년부터 995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내령군(奈靈郡)은 원래 내기군(奈己郡)으로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내기군은 백제 땅이었는데 신라의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이 빼앗았다고 한다.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이 내기군을 내령군으로 개정하였다. 757년(경덕왕 16) 군현제를 강화하고, 명칭을 한자식으로 아화(雅化)하는 과정에서 내기군이 내령군으...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림리(內林里)는 영주시 이산면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림1리, 내림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안수구리, 바깥수구리[평지마을], 녹수골 등이 있다. 내림리 명칭은 마을 안 숲에서 유래했다. 숲이 우거져 ‘내림(內林)’이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화군 임지면의 내림리, 상외리와 중외리 일부를 병...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에 있는 교회. 내매교회(乃梅敎會)는 대한예수장로회 통합 영주노회 영남시찰회 소속 교회이다. 내매교회는 평은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고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내매교회의 역사는 기록마다 차이를 보여 건립 연대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내매교회 100년사』에는 1906년 강재원이 건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조선 예수교회 장로회 사기...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에 있었던 공립초등학교. 평은국민학교 내명분교장은 강석진이 1910년 4월 5일 내매교회 안에 교회가 자리 잡고 있던 마을 이름인 ‘내매(乃梅)’를 따 설립한 기독내매학교의 후신이다. 1913년 7월 14일 조선총독부 「학제 1542호」에 근거해 사립기독내매학교로 인가를 받아 1913년 9월 1일 정식으로 개교했다. 사립기독내매학교의 학구는 현 영주시...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에 있었던 공립초등학교. 평은국민학교 내명분교장은 강석진이 1910년 4월 5일 내매교회 안에 교회가 자리 잡고 있던 마을 이름인 ‘내매(乃梅)’를 따 설립한 기독내매학교의 후신이다. 1913년 7월 14일 조선총독부 「학제 1542호」에 근거해 사립기독내매학교로 인가를 받아 1913년 9월 1일 정식으로 개교했다. 사립기독내매학교의 학구는 현 영주시...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세무행정기관. 영주세무서는 국세청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기관이다. 국세청은 산하에 6개의 지방국세청[서울·중부·대전·광주·대구·부산지방국세청]을 두고 있으며, 각 지방국세청은 다시 관내 각 시군 지역을 관할하는 125개 세무서와 19개 세무서지서들을 운영한다. 대구지방국세청은 이 중 14개 세무서와 4개 지서를 산하에 두고 있는데,...
-
선달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영주시를 지나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내성천은 유로연장 106.29㎞, 유역면적 1,814.71㎢의 지방하천으로, 선달산[1,236m]에서 발원하여 봉화군·영주시·예천군을 지나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내성천 명칭은 내성면[지금의 봉화군 봉화읍]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진다. 내성천 지명이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지형도』로 그...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평은리와 이산면 운문리를 연결하는 다리. 내성천교는 내성천을 건너는 국도제5호선의 교량으로 교량 동쪽 부분은 영주시 평은면 평은리, 서쪽 부분은 영주시 이산면 운문리의 행정구역에 속한다. 왕복 4차로 교량이다. 다리가 통과하는 내성천(乃城川)의 이름을 따서 ‘내성천교’라 명명하였다. 내성천교의 총길이는 438m이며, 총폭은 19.5m, 유효 폭은 18.5m...
-
삼국시대부터 757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내기군(奈己郡)은 본래 백제의 영토였으나, 신라의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이 빼앗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이 내기군을 내령군(奈靈郡)으로 고쳤다. 내이군(奈已郡)·날이군(捺已郡)이라고도 부른다. 내기군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죽리(內竹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죽1리, 내죽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속시이[속수], 원단촌, 백운동 등이 있다. 내죽리 지명은 옛 순흥군 내죽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내죽면 속수리, 원촌리, 죽촌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순흥면 내죽리가 되었다. 1980년 4월 1일...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내죽마을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내죽리 내죽 동제는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의 내죽마을 주민들이 정월 열나흗날에 한 해 풍년과 마을의 평안을 염원하며 비봉산 중턱에 있는 성황당에서 지내는 동제이다. 내죽리 내죽 동제가 시작된 시기와 배경은 정확히 알 수 없다. 내죽마을의 제당은 성황당 혹은 선황당으로 불린다. 성황당은 비봉산 중턱...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줄리(內茁里)는 안정면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속줄포[내줄, 내줄포, 골줄포], 동명[대추골], 점마 등이 있다. 내줄리 명칭은 내줄마을에서 유래했다. 조선 인조 때 나주정씨(羅州丁氏)들이 강원도 원주에서 이곳으로 이주해 오면서 줄풀이 무성해 ‘줄포’라고 붙여졌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
조선 전기 영주 출신의 문신. 정도복(鄭道復)[1351~1435]은 정도전(鄭道傳)[1342~1398]의 동생으로 조선 초 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정도복의 자는 내지(來之), 호는 일봉(逸峰), 본관은 봉화(奉化)이다. 고조할아버지는 호부령을 지낸 정공미(鄭公美), 증조할아버지는 비서랑을 지낸 정영찬(鄭英粲), 할아버지는 검교군기시정을 지낸 정균(鄭均), 아버지는 형부상서를...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서 천연 섬유소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제조되는 견직물. 풍기인견(豊基人絹)은 영주시 풍기읍의 특산물로, 정제된 낙엽송의 목재 펄프와 면 씨앗에서 분리한 잔털의 린터[길이가 짧은 면섬유]의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섬유이다. 풍기직물[풍기인견]은 1934년경 평안남도 덕천 지역에서 명주공장[족답기 15대 규모]을 설립·운영하던 사람이 월남하여 1938년...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여륵1리에 있는 순흥안씨 집성촌. 순흥안씨(順興安氏)는 영주시 순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순흥안씨의 시조(始祖) 안자미(安子美)는 고려 신종 때 흥위위보승별장을 역임하고 신호위상호군에 추봉되었다. 조선조에 들어와 생활 관련 근거지가 파주 금촌으로 옮겨졌는데, 여러 사화를 겪으면서 전국으로 흩어져 살게 되었으며, 관향지 순흥에 살던 일족들은 단종복위운동...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노계서원(蘆溪書院)은 진중길(秦中吉)[1308~?]과 한산두(韓山斗)[1556~1627]를 제향하고 있는 서원으로 1788년(정조 12) 건립된 노계사(蘆溪祠)에서 출발한다. 봉현면행정복지센터에서 지방도제931호선을 타고 석관천을 따라 남쪽으로 8㎞가량 이동하면 서쪽으로 용부교가 나타나는데, 그 맞은편에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노계서원(蘆溪書院)은 진중길(秦中吉)[1308~?]과 한산두(韓山斗)[1556~1627]를 제향하고 있는 서원으로 1788년(정조 12) 건립된 노계사(蘆溪祠)에서 출발한다. 봉현면행정복지센터에서 지방도제931호선을 타고 석관천을 따라 남쪽으로 8㎞가량 이동하면 서쪽으로 용부교가 나타나는데, 그 맞은편에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노계서원(蘆溪書院)은 진중길(秦中吉)[1308~?]과 한산두(韓山斗)[1556~1627]를 제향하고 있는 서원으로 1788년(정조 12) 건립된 노계사(蘆溪祠)에서 출발한다. 봉현면행정복지센터에서 지방도제931호선을 타고 석관천을 따라 남쪽으로 8㎞가량 이동하면 서쪽으로 용부교가 나타나는데, 그 맞은편에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곡리(魯谷里)는 영주시 부석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노곡1리와 노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두신[두곡], 남자일[남절, 남사동, 남제일], 듬실[두문], 은행정, 망골, 양지마[양중동], 중마[노실, 너곡, 너걱, 노곡], 새터[신기, 새텃마] 등이 있다. 노곡리 명칭은 옛날 마을에 백로[鷺]가 많이 살아 백로 둥...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산하 지방행정기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경북 북부 지역의 노동 행정업무를 관장하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지청이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영주시·상주시·문경시·봉화군 지역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균형 있는 국민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1968년 5월 25일에 각각...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산하 지방행정기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경북 북부 지역의 노동 행정업무를 관장하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지청이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영주시·상주시·문경시·봉화군 지역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균형 있는 국민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1968년 5월 25일에 각각...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산하 지방행정기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경북 북부 지역의 노동 행정업무를 관장하는 고용노동부 산하의 지청이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영주시·상주시·문경시·봉화군 지역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균형 있는 국민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영주지청은 1968년 5월 25일에 각각...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에 있는 알루미늄 압연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체. 노벨리스코리아 영주공장은 1993년 6월 대한전선 영주압연공장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노벨리스코리아는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Aditya Birla Group)의 주력 기업인 힌달코 인더스트리즈(Hindalco Industries Limited)의 자회사이다. 노벨리스는 세계 제일의...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일원에 조성된 농공단지. 영주적서농공단지는 1991년 영주시 적서동에 조성되었다. 농공단지는 1984년 시행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법률 제3689호, 1983년 12월 31일 제정]에 따라 농촌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소득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를 뜻한다. 영주적서농공단지는 영주 지역 농촌 유휴인력 활용과 시가지 환경개선 등을 통해 지역 경제...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김개국(金盖國)[1548~1603]은 강원도도사·옥천군수 등을 지낸 문신이며,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김개국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제(公濟), 호는 만취당(晩翠堂)·양진재(養眞齋)·노봉(蘆峰)이다. 아버지는 김산훈도를 지낸 김몽득(金夢得), 어머니는 진사 이극온(李克溫)의 딸 공주이씨(公州李氏)이다. 할아버지는 가인의를 지낸...
-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김정(金亻+政)[1670~1737]은 경성판관·강계도호부사·제주목사 등을 지낸 문신이다. 김정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달(士達), 호는 노봉(蘆峰)이다. 아버지는 비변랑을 지낸 김휘봉(金輝鳳)[1643~1683], 어머니는 참봉을 지낸 금성휘(琴聖徽)[1622~1682]의 딸 증 숙부인 봉화금씨(奉化琴氏), 할아버지는 증 이조참의 김시행(金時行...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의 죽령에 전해오는 퇴계 이황에 관한 이야기. 「노수 바치는 단양 아전을 꾸짖은 이퇴계」는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관련된 인물 전설이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죽령마루는 죽령(竹嶺)의 고갯마루다. 전설의 주인공인 이퇴계, 즉 퇴계 이황은 1549년(명종 4) 풍기군수로 부임하였다. 재임 중 조정에 요청하여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사액 받는 등 많은 치적을...
-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태진(丁泰鎭)[1876~1960]은 경술국치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한계(韓溪) 이승희(李承熙)[1847~1916]와 함께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위해 활약하였다. 1919년에는 국내에서 유림단의 독립청원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태진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노수(魯叟), 호는 외재(畏齋) 또는 서포(西浦)이다. 1876년 8...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좌리(魯佐里)는 영주시 봉현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노좌1리, 노좌2리, 노좌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노재이[奴者, 魯佐], 사리미[士林里, 백산동], 새마[새말, 새마을], 추월당, 다리목[多來村, 다래골], 상마[上村], 중말[중마을] 등이 있다. 노좌리 명칭은 노재이마을에서 유래했다. 본래 마을 이름이 ‘노자(...
-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 있는 체험마을. 영주시에 위치하는 솔향기마을, 피끝마을, 장생이마을, 금대마을, 한밤실, 녹색농심인삼체험마을, 새내역사체험마을, 소백산단산포도마을 등에서 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또 선비촌, 영주 무섬마을 등지에서는 전통한옥 고택체험도 있다. 솔향기마을은 2006년 조성되었으며 소백산 자락 장군봉 아래 산으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영주시 봉현면...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오운리에 있는 산. 봉수산(烽燧山)[570m]은 영주시 평은면 오운리와 안동시 녹전면 녹래리의 경계에 있는 봉우리로, 북북서-남남서 방향의 산줄기에 놓여 있다. ‘봉수산’이라는 이름은 조선시대에 봉수대가 있었던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봉화가 1곳이니, 녹전산(祿轉山)으로 현 서쪽에 있다. 서쪽으로 영천(榮川)[지금 영주] 소산...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와 안정면 동촌리에서 전해지는 논의 김을 맬 때 부른 민요. 「논매기 노래」는 모를 심은 후 호미나 기계로 두세 차례에 걸쳐 애벌매기, 이듬매기, 만물매기 등 김을 매는데, 이때 영주시 순흥면 지역 농민들이 부른 노래이다. 순흥면 내죽리의 「논매기 노래」[1]은 어서 빨리 추수하여 봉제사, 부모 봉양에 힘쓰고 싶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데 반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와 안정면 동촌리에서 전해지는 논의 김을 맬 때 부른 민요. 「논매기 노래」는 모를 심은 후 호미나 기계로 두세 차례에 걸쳐 애벌매기, 이듬매기, 만물매기 등 김을 매는데, 이때 영주시 순흥면 지역 농민들이 부른 노래이다. 순흥면 내죽리의 「논매기 노래」[1]은 어서 빨리 추수하여 봉제사, 부모 봉양에 힘쓰고 싶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데 반해,...
-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전해지는 경복궁 중건 모습을 묘사하며 부른 민요. 「방개 타령」 혹은 「방개 소리」의 민요는 노동요이며, 다른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영주시의 「방개 타령」은 경복궁을 지으면서 부른 특별한 노동요라 할 수 있다. 「방개 타령」은 2007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편찬한 『영남전래민요집』에 「방개 타령」으로 수록되어 있다. 『영...
-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오하근(吳夏根)[1897~1963]은 1919년 영주면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형을 선고받았다. 오하근의 본관은 고창(高敞), 호는 농고(聾故)이다. 아버지는 통덕랑 오응철(吳應澈)이며, 1897년 10월 15일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조암동 사일마을에서 태어났다. 오하근은 농촌에서 농사를 지으며 한학을 익혔다. 23세가...
-
경상북도 영주시 농어촌 지역의 소득 증대와 지역 발전을 위해 조성된 산업단지. 농공단지는 지방자치단체가 농촌 지역에 기업을 입주시킴으로써 재정 확보와 지역주민의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도시와 농어촌의 격차를 줄여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농공단지는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법률 제3689호, 1983년 12월 31일 공포]에...
-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는 도구 및 기구. 농기구는 농사가 중요한 생존 수단이었던 전통사회에서 기계가 대체하기 전까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영주시에서도 여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말까지 인력 중심의 재래 농구를 사용하였고, 일제강점기를 시작으로 여러 신식 농기구가 보급되었다. 현재는 농업의 기계화가 진행되어 재래식 농구가 사라지고 농업기계로 대체되...
-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는 도구 및 기구. 농기구는 농사가 중요한 생존 수단이었던 전통사회에서 기계가 대체하기 전까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영주시에서도 여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말까지 인력 중심의 재래 농구를 사용하였고, 일제강점기를 시작으로 여러 신식 농기구가 보급되었다. 현재는 농업의 기계화가 진행되어 재래식 농구가 사라지고 농업기계로 대체되...
-
1920~1930년대 영주 지역에서 전개된 농민운동. 1910년대 일제는 근대법적 토지소유권을 확립한다는 명목 아래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해 식민지 지주제를 확립시켰다. 이어 1920년대에는 산미증식계획을 통해 식민지 지주제를 강화하는 한편, 농업 수탈을 가속화되면서 농민층의 몰락은 빨라졌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농민은 수확물의 50~80%에 이르는 고율의 소작료, 지세·호세·지세부가...
-
1930년대 영주 지역에서 전개된 혁명적 농민운동. 세계 대공황 이후 점증하는 자본주의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서 대대적인 농촌진흥운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식민지 조선에서는 농민운동이 1920년대 후반부터 민족운동으로 확대·발전하는 가운데, 일제의 정책에 대응하여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이 전개되었다. 영주의 농민조합운동은 1931년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를 시작으로...
-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사람에게 유용한 생산물을 얻어 내는 경제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1차 산업이다. 따라서 농업은 사람들의 의식주 생활과 가장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농업은 유기적인 생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토지와 기후 등 자연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그 방법과 내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
-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농업인의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농업협동조합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이 목적인 주식회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 농업협동조합은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 및 이익과 관...
-
경상북도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조직.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영주시지부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중 하나이다. 농업협동조합중앙회는 농업인의 자주적인 조합 활동을 통해 농업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특히 해방 직후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에서 농업협동조합의 설립은 농지개혁과 함께 국민의 큰...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산하 영주·봉화 지역 담당하는 공공기관.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영주봉화지사는 영주 및 봉화 지역 농업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공공기관으로 1979년 영풍농지개량조합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영주봉화지사는 영주 및 봉화 지역에서 환경친화적 농어촌 정비 사업과 농지은행 사업을 시행하고, 농업 기반 시설을 종합...
-
경상북도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조직.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영주시지부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중 하나이다. 농업협동조합중앙회는 농업인의 자주적인 조합 활동을 통해 농업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특히 해방 직후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에서 농업협동조합의 설립은 농지개혁과 함께 국민의 큰...
-
경상북도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조직.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영주시지부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산하 중 하나이다. 농업협동조합중앙회는 농업인의 자주적인 조합 활동을 통해 농업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특히 해방 직후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에서 농업협동조합의 설립은 농지개혁과 함께 국민의 큰...
-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농업인의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농업협동조합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이 목적인 주식회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 농업협동조합은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 및 이익과 관...
-
경상북도 영주시에 건립된 누각과 정자. 누정(樓亭)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로 통칭하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 누정조에는 누정을 ‘누(樓)·정(亭)·당(堂)·대(臺)·각(閣)·헌(軒)’ 등을 일컫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누정은 주로 휴식의 의미가 강하게 내재하여 있었기 때문에 절경에 독립된 단일 건물로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누정은 자연을 배경으로 하여 사방의 경계를...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와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보발리를 연결하는 고개. 늦은맥이재[1,260m]는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에서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보발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소백산 최고봉인 비로봉[1,439.5m]에서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비로봉-국망봉[1420.8m]-상월봉[1,396m]-늦은맥이재로 이어진다. 늦은맥이재에서 세 방향으로 능선이 갈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