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292 |
---|---|
영어공식명칭 | Black-billed Magpie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용휘 |
경상북도 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
까치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하여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예로부터 기쁜 소식을 알려주는 길조로 여겼으며 밝은 미래를 나타내는 새이다.
까치는 몸길이가 45㎝ 정도인데, 몸집에 비해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깃털의 색깔은 전체적으로 짙은 청록색 또는 검은색을 띠지만 배 부분과 날갯죽지 부분은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 역시 검은색을 띤다.
까치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 친근한 새로, 아침에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찾아온다고 믿었다. 영주시에는 까치가 나무껍질을 물어다 떨어뜨린 곳에 부석사를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까치는 4~6월경에 번식하며, 한 배에 6~7개 알을 낳는다. 17~18일간 알을 품으면 새끼가 알을 깨고 나온다. 부화한 새끼는 한 달 정도 어미의 보살핌을 받은 뒤 독립한다. 먹이는 주로 다른 새의 알, 생쥐, 개구리, 물고기 등 동물성 먹이와 곡식, 과일 등 식물성 먹이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다.
까치는 1995년 통합 영주시가 발족함에 따라 영주시의 정서에 알맞게 1995년 1월 1일 시조(市鳥)로 지정되었다. 현재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영주문화예술회관에는 까치의 이름을 따서 지은 까치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