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308 |
---|---|
한자 | 鐵器時代 |
영어공식명칭 | Iron Age |
이칭/별칭 | 삼한시대,원삼국시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선사/철기 |
집필자 | 강재현 |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철기를 사용하던 시대의 역사.
철기시대(鐵器時代)는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서기전 300년경부터 삼국이 정립된 서기 300년경까지를 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는 철기시대를 두 시기로 나누어 서기전 300년에서 서기전 100년[또는 기원전·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서기전 100년[또는 기원전·후]에서 서기 300년까지를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로 구분하고 있다. 반면 일부 연구자들은 전반을 철기시대 전기, 후반을 철기시대 후기로 부르는가 하면, 통칭하여 삼한시대(三韓時代)로 지칭하는 견해도 있다. 영주 지역에는 초기철기 또는 원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영주 지역에서 철기시대 유적은 확인되지 않지만, 영주시 풍기읍 동부리의 풍기토성(豊基土城) 지표상에서 격자문이 타날된 와질토기편이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이 일대에 원삼국시대의 유적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진한 12국 중 하나인 기저국(己柢國)을 지금의 풍기 지역으로 비정하여, 이 시기 영주 지역에 부족국가(部族國家)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또 순흥면·안정면·봉현면 일대에 6세기 이후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분묘가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를 바탕으로 철기시대에도 강력한 세력이 영주 지역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