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329 |
---|---|
한자 | 順興府 |
영어공식명칭 | Sunheung-bu |
이칭/별칭 | 순정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위은숙 |
제정 시기/일시 | 1348년![]() |
---|---|
개정 시기/일시 | 1413년 - 순흥부에서 순흥도호부로 개정 |
관할 지역 | 순흥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
1348년부터 1413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순흥부(順興府)는 1348년(충목왕 4)부터 1413년(태종 13)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일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이다.
충목왕의 태(胎)가 안치된 고을이라는 이유로 순흥부로 승격이 이루어졌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권150 지리지 경상도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조에는 “충숙왕 계축년[1313]에 또 태를 안치하고 승격시켜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삼았다. 충목왕 무자년[1348]에도 태를 안치하고 순흥부로 승격시켰다. 본조 태종 계사년[1413]의 예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외 『고려사(高麗史)』 권57 지리지2 안동부 흥주조에도 비슷한 내용이 보인다.
순흥부는 1348년 당시 왕이었던 충목왕의 태가 흥주 지역에 안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순흥부로 승격이 이루어졌다.
1413년 조선 정부는 전국적으로 지방행정구역을 개편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순흥부의 읍격이 순흥도호부로 조정되고, 종3품의 도호부사(都護府使)가 파견되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왕이나 태자의 태를 안치한 고을일 경우 읍의 규모와 관계없이 읍격을 승격시켜 주는 것이 상례였다. 13~14세기 동안 지금의 영주시 순흥면 지역에 왕의 태가 거듭 안치되면서, 이곳 읍격과 파견되는 지방관의 관직도 승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