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362
한자 農民運動
영어공식명칭 Peasant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정의]

1920~1930년대 영주 지역에서 전개된 농민운동.

[개설]

1910년대 일제는 근대법적 토지소유권을 확립한다는 명목 아래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해 식민지 지주제를 확립시켰다. 이어 1920년대에는 산미증식계획을 통해 식민지 지주제를 강화하는 한편, 농업 수탈을 가속화되면서 농민층의 몰락은 빨라졌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농민은 수확물의 50~80%에 이르는 고율의 소작료, 지세·호세·지세부가세·시장세·도장세·연초세·주세·면비(面費)·학교조합비·수리조합비 등 각종 조세를 부담하게 된다.

1930년대 일제는 세계대공황 속에서 농촌진흥정책 추진을 통해, 경제 위기를 조선 농촌에 전가하였고, 식민지 민족운동의 고양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에 대응하여 농민들은 조직적인 농민운동으로 대응해 나갔다. 그러한 가운데 영주 지역에서도 1920년대 소작인조합운동을 시작으로 영주농민조합을 거쳐,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영주의 농민운동]

1920년 우리나라 최초 전국적 농민운동 조직인 조선노동공제회가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노동공제회 영주지회가 영주 지역 소작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활동하였다. 그러나 1922년 10월 조선노동연맹회의 설립은 조선노동공제회의 분열로 이어져 조선노동공제회는 지방지회에 대한 영향력을 거의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주의 풍기면·봉현면·안정면 3면의 소작인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1923년 3월 풍기소작조합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풍기소작조합은 집행위원장에 강응진(姜應鎭), 집행위원에 각 동 대표 40인을 뽑고, 결의 사항을 채택하였다. 특히 풍기소작조합은 소작료를 50%로 명시하였으며, 지세 및 기타 공과금의 지주 부담, 무상 노동 폐지, 소작료 운반 거리를 2리 이내로 제한, 소작인 변경 제한 등을 주요 목표로 제시하였다. 1923년 4월 풍기소작조합은 전국적인 농민운동 조직으로 계급적 성향을 지닌 조선노동연맹회에도 가입하였다.

1923년 4월 풍기소작조합의 조합원이자 지주인 강택진(姜宅鎭)은 자신이 소유한 토지 9,000여 평[29,752㎡]을 소작인 조합에 기부하며, 「지주권을 포기하노라」라는 성명서를 발표하여,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리고 정작 강택진 자신은 서울의 어느 집 문간방에서 생활하며, 아이스크림 장사로 생계를 이어갔다. 강택진은 토지를 기부한 배경에 대해, ‘박애·평등·자유’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유욕’을 버리고, ‘참사람’의 ‘참살림’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1923년 5월 1일 풍기소작조합은 500여 명 농민이 참석한 가운데 메이데이 기념 강연회를 개최하고, 김봉호(金鳳鎬)[김동필(金東弼)]는 ‘노동자와 소작인의 억울한 과거와 현재’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위원장 강응진의 선창으로 “만국 노동자 만세”를 삼창한 후 폐회했다. 1923년 9월 조선노농총동맹준비회에 발기 단체로 참여한 뒤, 1923년 10월에는 임시총회를 열고 조선노농연맹회에서 탈퇴했다. 임시총회에서 지세불납동맹을 조직하여 지주에 대항하고자 하였으며, 총회 종료 뒤 조합기와 농단기를 앞세워 농악을 울리면서 시가행진을 진행하였다. 이후 풍기소작조합의 지주에 대한 투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신·구소작인이 대치하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했으며, 지주가 경찰과 결탁해 조합원을 탄압하기도 하였다.

1924년 1월에는 영주군 풍기면 금계리에서 일꾼회가 결성되었다. 일꾼회는 금계리에 사는 풍기소작조합의 주요 활동가들이 회원 간 상호 친목, 상호 원조, 경제생활 향상 등을 목표로 만든 조직이다. 일꾼회의 가장 큰 특징은 회원이 소유한 일반 농토를 공동 경작한다는 것이었다.

1925년 풍기소작조합은 풍기농우동맹으로 조직을 변화시켰는데, 이는 소작조합에서 농민조합으로의 전환을 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29년 3월 풍기농우동맹은 제3회 정기대회를 통해 동 동맹을 해체하고, 군 단위 단일 농민조직을 결성하기 위해 영주농민조합을 결성하였다. 영주농민조합은 지부 설치, 회원 정리, 반(班) 조직 등을 우선 과제로 설정하여 실행 방법을 토의하였다. 그에 따라 영주에는 영주농민조합 금계지부와 영주농민조합 이산지부가 설치되었으며, 1928년 6월 기준으로 2,352명의 회원을 확보하였다. 이로써 영주농민조합은 경북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농민조합이자, 대표적 농민조직으로 위상을 가지게 된다.

[1930년대 영주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1920년대 풍기소작조합, 풍기농우동맹, 영주농민조합으로 이어진 농민운동은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1931년 후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을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그 결과 1932년 4월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가 결성되었다.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는 조선의 독립과 농업혁명의 실현을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봉화적색농민조합·예천무명당(醴泉無名黨)과 연계하여 농민조합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는 초기 단계에 일제 관헌의 탄압을 받아 와해되었다.

1932년 10월에는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를 계승하여 영주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영주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는 안동콤그룹과 연계해 조직되었는데, 적농부와 반제동맹부로 명확히 구분하여 적농부는 농민층, 반제동맹부는 소부르주아층을 대상으로 활동하였다. 또 영주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는 독서회를 만들어 공산주의 이론을 연구하고, 러시아혁명기념일이나 메이데이에 기념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그러한 가운데 1933년 5월 메이데이를 맞아 봉화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와 공동투쟁을 벌이고자 하였으나,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어 와해되고 말았다.

1935년 5월 16일에는 서울의 전조선적색노동조합준비위원회 세력과 연계한 영주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전조선적색노동조합준비위원회의 경북 책임자 정길성이 영주의 사회운동가와 연대해 혁명적 노동조합운동을 펼친 결과였다. 그러나 영주적색노동조합건설위원회는 결성 초기에 일제 관헌을 탄압으로 와해되고 말았다. 이처럼 영주의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은 일제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비합법 투쟁을 지속했다. 이는 1940년대 일제의 전시동원정책에 대한 투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역사적 의의]

1920~1930년대 영주 지역의 농민운동은 경북 지역 농민운동을 대표하는 위상을 가졌다. 또한, 일제강점기 농민운동이 민족운동으로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