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384
한자 榮州可興洞磨崖如來三尊像-如來坐像
영어공식명칭 Rock-carved Buddha Triad and Seated Buddha in Gaheung-dong, Yeongju
이칭/별칭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연표보기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보물 제22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및 여래좌상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지도보기
원소재지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성격 불상
재질 석재
크기(높이) 삼존불의 본존불 330㎝|우협시 198㎝|좌협시 195㎝|여래좌상 81㎝
소유자 국유
관리자 영주시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마애불상.

[개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榮州可興洞磨崖如來三尊像-如來坐像)서천이 내려다보이는 천변의 높고 커다란 바위벽에서 가장 높은 곳을 쪼아 가운데 넓은 면에 본존불을 조각하고, 좌우로 입상의 협시보살을 조각하였으며, 그 좌측에 마애여래좌상을 옮겨 놓았다. 조각 수법은 고부조(高浮彫)로 거의 원각(圓刻)에 가깝게 처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법은 인접한 지역에서도 볼 수 있는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형태]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크기는 삼존불 본존불이 330㎝, 우협시 198㎝, 좌협시 195㎝이며, 여래좌상은 81㎝이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의 본존불은 소발의 머리 위에 큼직한 육계가 표현되었고, 얼굴은 팽팽한 뺨, 큼직하고 듬직한 코, 꽉 다문 입 등으로 장중하면서도 활력이 넘친다. 눈은 비록 손상되었지만, 코와 입은 솜씨 있게 처리되었으며 어깨까지 내려온 긴 귀는 굴곡 있게 묘사되었다. 가슴은 당당하며 어깨의 굴곡은 발랄하고도 생명감이 넘치게 표현되어 있다. 법의는 두껍고 묵직하며 기운찬 옷선에서 장중한 힘이 나타나고 있다. 양 손목에서 내려진 옷자락은 돌림무늬의 옷 주름을 이루면서 무릎까지 내려오는데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奉化北枝里磨崖如來坐象)[국보 제201호]과 동일하며 손 모양도 흡사하다.

광배는 원형 두광으로 가운데 복판연화문을 두르고 두광과의 사이에는 연꽃무늬와 5구의 화불(化佛)을 배치하였다. 두광 밖에는 넓게 불꽃무늬를 조각하였는데, 가늘면서도 힘 있게 조각되어 위로 상승하는 기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탄력 있고 긴장된 선은 복판연화문의 앙련대좌에서도 나타난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왼쪽 보살상은 두 눈을 파내어 얼굴의 감정을 느낄 수 없지만 둥글고 풍만한 얼굴임이 틀림없다. 넓은 가슴, 어깨 위로 걸친 왼팔, 배에 댄 오른팔에서 강한 남성적 기질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묵직한 천의(天衣) 묘사로 이 점이 더욱 강조된다. 그러나 두 가닥의 자락을 전면에서 옆으로 내려뜨리고 있는 것이라든가 풍만한 수법은 남성적인 자세에 율동감을 주기도 한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오른쪽 보살상은 왼쪽 보살상과 비슷한 수법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보관에 보병이 묘사되었다든가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점 등은 다른 형태이나 본존상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조각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마애여래좌상은 연화문이 새겨진 고식(古式)의 보주형 두광을 갖추었다. 머리는 소발로 큼직한 육계가 솟아 있으며 턱선을 둥글린 얼굴은 양감이 풍부하여 통통한 느낌을 준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에 비스듬히 표현된 승각기는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상의 본존불과 거의 같은 모습이다. 수인은 두 손 모두 엄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인을 취한 상으로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좌상은 인근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삼국 말에서 통일신라 초의 마애불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하며, 특히 얼굴의 표현, 법의의 조각 솜씨나 앙련의 연화대좌 형태에서 이미 보물로 지정된 바로 옆의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과 같은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거의 같은 시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볼 수 있다.

[특징]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221호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8월 28일 기 지정된 3구의 불상 외에 ‘마애여래좌상’ 1구를 추가하여 현재 명칭인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마애여래좌상은 2006년 6월 28일 집중호우로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전방 좌측의 암반이 붕괴되면서 새롭게 발견된 불상이다.

[의의와 평가]

현재까지 발견된 삼국시대 말기에서 통일신라 초기까지의 신라 불상은 경주를 제외하고, 지방에서 제작된 예로는 영주와 봉화 지역밖에 없다. 따라서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은 도상이나 영주 지역 불교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