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426
한자 海愚堂古宅
영어공식명칭 Haeudang Historic House
이칭/별칭 선성김씨 해우당고택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무섬로 238-2[수도리 244]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태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79년연표보기 - 해우당고택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8월 7일연표보기 - 해우당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우당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해우당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무섬로 238-2[수도리 244]지도보기
성격 전통가옥
양식 팔작지붕|맞배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6칸
소유자 김대원
관리자 김대원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가옥.

[개설]

해우당고택(海愚堂古宅)은 1879년(고종 16)에 의금부도사를 지낸 김낙풍(金樂灃)[1825~1900]이 건립하였다. 김낙풍의 본관은 선성(宣城), 자는 성발(聖潑), 호는 해우당(海遇堂) 또는 대은(大隱)이다. 김낙풍은 평생을 거의 서울에서 지냈으나 벼슬을 구하지 않았으며, 사귄 이들이 모두 명류(名流)들이었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는 정권을 잡기 이전부터 막역지우로 지내면서 두터운 우정을 나누었고, 집권 후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했다. 영주 지역에서도 이산서원 원장을 지내는 등 추앙을 받았다. 김낙풍의 저서로 유고(遺稿) 2책이 있다.

[위치]

해우당고택문수면행정복지센터에서 남쪽으로 약 5.36㎞ 떨어진 영주 무섬마을에 위치한다. 문수면행정복지센터 정문에서 문수로1363번길을 따라 3.5㎞ 이동 후, 승평교를 건너 승평로를 따라 1.6㎞ 이동하여 수도교를 건너면 해우당고택이 왼쪽에 자리 잡고 있다. 해우당고택이 위치한 무섬마을반남박씨(潘南朴氏)선성김씨(宣城金氏)의 집성촌(集姓村)으로 한 면을 제외한 삼면이 물로 둘러싸여 있다.

[변천]

해우당고택김낙풍이 건축하였다. 망와(望瓦)에 ‘광서 5년 기묘 유월일(光緖五年己卯六月日)’이라는 명문이 남아 있어, 해우당고택이 1879년(고종 16)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90여 년 전 대홍수가 있어 해우당고택 일부를 보수하였다.

[형태]

해우당고택은 평탄한 대지에 산을 등지고 북서향하고 있다. 행랑채와 방앗간채가 ㅁ자형 평면을 이룬다. 정면 5칸, 측면 6칸 규모로 사랑채 오른쪽 1칸이 돌출된 것이 특징이다. 지붕은 큰사랑채만 별도로 팔작지붕으로 꾸몄고, 나머지는 맞배지붕에 골기와를 이었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바깥마당이 나오고, 다시 안마당으로 들어서는 대문을 열면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상방, 오른쪽에 안방을 배치하고, 안방 앞으로 정지·고방을 배열했다. 정지는 안마당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정지와 고방 상부에는 우물마루를 깐 다락을 두었다. 상방 앞으로는 상방 정지, 중방, 고방을 꾸며 놓았다. 상방의 정지는 안마당 쪽으로 벽체 없이 개방되어 있고 위에는 상방다락이 놓여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중심으로 좌측에 작은사랑과 마루방을 두었고, 우측에는 큰사랑방과 마루방을 연이어 꾸며 놓았다.

사랑방 2칸 중 뒤쪽 1칸은 ㄱ자로 꺾어 책방 1칸을 두었으며, 마루방과 빈소방은 ㅁ자형 평면에서 오른쪽으로 1칸 돌출되어 있다. 큰사랑채는 작은사랑채보다 다소 지대를 높여 통주의 두리기둥을 세우고 툇마루에 계자각 헌함을 돌렸다. 솟을대문을 들어서서 오른쪽으로는 방앗간채가 들어서 있다. 해우당과 대은정(大隱亭)의 현판은 흥선대원군의 글씨이다.

[현황]

해우당고택은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해우당고택무섬마을에서 규모가 가장 큰 가옥이다. 경북 북부 지역 민가 평면을 잘 보존하고 있는데, 평면 구성에서 주목되는 것은 넓은 대청 공간의 배치와 다양하고 조리 있게 배치된 수장 공간의 활용이다. 또 안채와 사랑채가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통례이나 여기서는 안채와 사랑채가 직선형으로 배치된 점이 특이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