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정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519
한자 奉化鄭氏
영어공식명칭 Bonghwa Jeo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중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봉화정씨 - 경상북도 봉화군
세거|집성지 봉화정씨 세거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원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정공미
입향 시조 미상

[정의]

정공미를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주시의 세거 성씨.

[개설]

봉화정씨(奉化鄭氏)는 경상북도 봉화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봉화정씨의 시조는 고려 때 호부령을 지낸 정공미(鄭公美)이다.

[연원]

정공미의 증손자인 정운경(鄭云敬)[1305~1366]은 고려 충숙왕(忠肅王) 당시 내외의 요직을 거치고 공민왕(恭愍王) 때에는 형부상서를 지냈으며 소위 ‘염의선생(廉義先生)’이라 불리는 고려의 대표적인 청백리이다. 정운경의 아들 정도전(鄭道傳)[1342~1398]은 창왕(昌王)을 폐하고 공양왕(恭讓王)을 추대하여 봉화현충의군에 봉해졌다. 이후 1392년(태조 1) 공양왕의 선양을 끌어내고 이성계(李成桂)[1335~1408]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 개국 일등공신이 되었고, 봉화백(奉化伯)에 봉해졌다.

[입향 경위]

봉화정씨가 영주 지역에 입향한 시기와 경로에 대해서는 정확히 상고할 수가 없다. 다만 정공미의 손자 정균(鄭均)이 영주 지역으로 이거하여 정운경이 영주 지역에서 출생하여 자라고 만년에 은퇴하여 여생을 보냈기 때문에 그 선대로부터 이곳에 살았을 것으로 짐작될 따름이다.

[현황]

봉화정씨 정도전의 후손들은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을 비롯하여 강원도 양구군과 화천군 등지에 살고 있고, 정도전의 아우인 정도존(鄭道存)[?~1398]의 후손들은 주로 북한에 거주하고 있다. 정도복(鄭道復)[1351~1435]의 후손들은 영주시 이산면 원리[옛 명칭 한성동]에 터를 잡고 있다. 그 밖에도 영주시 창진동, 봉화군 상운면, 안동시 와룡면 등지에도 살고 있다.

[관련 유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작은솟골에는 문천서당(文川書堂)과 모현사(慕賢祠)가 위치한다. 원래 이 자리에는 1727년(영조 3) 정운경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향현사(鄕賢祠)가 있었다. 향현사는 1784년(정조 8) 문계서원(文溪書院)으로 승격되었지만,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 이에 정운경의 후손들이 선조를 추모하고자 1922년 옛 향현사 자리에 문천서당과 모현사를 건립하였다. 현재 모현사에서는 정운경을 비롯해 정도전, 정도복, 정진, 정문형의 향사를 지내고 있다. 한편, 인근 속곡에는 정운경의 신도비가 건립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