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696
한자 李汝馪
영어공식명칭 Lee Yeo-bin
이칭/별칭 덕훈(德薰),취사(炊沙),감곡(鑑谷),도촌(道村),만취(晩翠)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6년연표보기 - 이여빈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1년 - 이여빈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이여빈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이여빈 벽사도찰방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이여빈 성균관전적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31년연표보기 - 이여빈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15년 - 이여빈 도계서원 제향
출생지 이여빈 출생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도촌리
거주|이주지 인수정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의상로1208번길 119-38[감곡리 436]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이산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내림로 106-43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여빈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도계서원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사제길 12[도촌리 454]
성격 학자
성별
본관 우계(羽溪)
대표 관직|경력 벽사도찰방|성균관전적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학자.

[개설]

이여빈(李汝馪)[1556~1631]은 문과 급제 후 벽사도찰방, 성균관전적 등에 제수되었으나, 광해군 연간 대북 세력이 권력을 잡자 고향에 은거하였다.

[가계]

이여빈의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덕훈(德薰), 호는 취사(炊沙)·감곡(鑑谷)·도촌(道村)·만취(晩翠)이다. 아버지는 군자감참봉을 지낸 이효신(李孝信), 어머니는 사직을 지낸 이귀윤(李貴胤)[1493~1539]의 딸 전주이씨(全州李氏), 할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을 지낸 이당(李棠), 증조할아버지는 홍천현감을 지낸 이대근(李大根)이다. 부인은 참봉을 지낸 김욱(金勗)[1596~1660]의 딸 숙인 예안김씨(禮安金氏)이다.

[활동 사항]

이여빈은 1556년(명종 11) 경상도 영천군(榮川郡) 도촌(道村)[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도촌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린 시절 한우(韓佑)에 학문을 배웠으며, 후에는 박승임(朴承任)[1517~1586]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1년(선조 24) 진사시, 1605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06년 벽사도찰방에 제수되었으나, 어머니 봉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성균관전적이 되었으나, 대북 세력들이 전횡을 일삼자 더는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다. 이후 인수정(因樹亭)[영주시 부석면 감곡리]을 짓고 은거하였다. 1611년 정인홍(鄭仁弘)[1535~1623]이 문묘 종사 된 이언적(李彦迪)[1491~1553]과 이황(李滉)[1501~1570]을 배척하자, 변무하는 상소문을 작성하였다. 또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고 이이첨(李爾瞻)[1560~1623]이 전횡을 일삼자, 이이첨의 처벌을 청원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1625년(인조 3) 이산서원 산장으로 있으면서 고을 유림과 함께 『영천지(榮川誌)』를 엮었다. 안동, 상주, 진주의 제독관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여빈의 문집으로 6권 3책의 『취사집(炊沙集)』이 전한다. 수록 내용 가운데 「양선생변무소(兩先生辨誣疏)」는 이언적과 이황의 문묘 종사 반대를 변무한 상소문이며, 「용사록(龍蛇錄)」은 임진왜란 때의 보고 들은 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또 「시사잡록(時事雜錄)」은 선조부터 광해군 때까지 여러 사건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 무렵 정치적 상황을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묘소]

이여빈의 묘소는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여빈은 1715년(숙종 41) 도계서원(道溪書院)[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도촌리]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