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812 |
---|---|
한자 | 李正熙 |
영어공식명칭 | Lee Jeong-hui |
이칭/별칭 | 맹실(孟實),효산(曉山),만정(晩汀)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경희 |
출생 시기/일시 | 1903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2년 - 이정희 경상북도도립교원양성소 재학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 이정희 경주 내성보통학교 근무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이정희 감천보통학교 근무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이정희 영주보통학교 근무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 이정희 영주서부심상소학교 근무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 이정희 영주군 평은면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9년 - 이정희 문경군수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950년 - 이정희 안동군수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952년 - 이정희 초대 영주군 교육감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54년 - 이정희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
수학 시기/일시 | 1958년 - 이정희 국방대학교 졸업 |
활동 시기/일시 | 1958년 - 이정희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 이정희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낙선 |
몰년 시기/일시 | 1981년![]() |
출생지 | 이정희 출생지 -
경상북도 영주시 상망동
![]() |
학교|수학지 | 경북사범고등학교 - 대구광역시 중구 |
학교|수학지 | 국방대학교 - 경기도 고양시 |
묘소 | 이정희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조암동
![]() |
성격 | 교육자|정치가 |
성별 | 남 |
본관 | 우계(羽溪) |
대표 경력 | 교육감|국회의원 |
경상북도 영주시 출신의 교육자이자 정치가.
이정희(李正熙)[1903~1981]는 일제강점기 때에는 교육자, 대한민국 건국 후에는 관료와 정치인으로 활동한 재선 국회의원이다.
이정희의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맹실(孟實), 호는 효산(曉山)·만정(晩汀)이다. 도촌(桃村) 이수형(李秀亨)[1435~1528]의 16대손으로, 아버지는 이원춘(李元春)이다. 1903년 12월 9일 지금의 영주시 상망동에서 출생하였다.
이정희는 1922년 경상북도도립교원양성소를 거쳐 경북사범고등학교 강습과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교편을 잡아 1928년 경주 내성보통학교, 1929년 감천보통학교, 1931년부터 1938년까지는 영주보통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38년 영주서부심상소학교의 교사가 되었다가, 얼마 후 공무원으로 전직하여 1939년 영주군 평은면장을 역임했다. 1940년대에는 영주군청 학무과 교화주사, 영주중등교육기성회 상담역 등으로 일했다.
이정희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문경군수[1949~1950]와 안동군수[1950~1952]를 지냈으며,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초대 영주군교육감을 지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 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하였다. 1958년에는 국방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 영주군 지역구에서 자유당 후보자로 출마했으나, 낙선하였고 이후 자유당 중앙위원, 영주군지구당 위원장 등을 지냈다. 1961년 5·16군사정변 이후 정치정화법 대상자가 되었지만 1963년 2월에 구제되었다. 곧바로 민주공화당에 입당했으나 1963년 3월에 탈당하고 장택상(張澤相)[1893~1969]이 추진하고 있던 자유당 재건에 참여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영주군·봉화군 지역구에 자유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