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1252 |
---|---|
한자 | -打令 |
영어공식명칭 | Banggae Taryeong |
이칭/별칭 | 방개 소리,논매기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현주 |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전해지는 경복궁 중건 모습을 묘사하며 부른 민요.
「방개 타령」 혹은 「방개 소리」의 민요는 노동요이며, 다른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영주시의 「방개 타령」은 경복궁을 지으면서 부른 특별한 노동요라 할 수 있다.
「방개 타령」은 2007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편찬한 『영남전래민요집』에 「방개 타령」으로 수록되어 있다. 『영남전래민요집』은 초대 국립도서관장을 역임한 이재욱이 1930년대에 수집한 민요를 엮어 만든 책이다. 「방개 타령」은 1930년 7월 23일 임장수[남, 21세]로부터 채록하였다.
「방개 타령」은 자유로운 음보의 민요이며, “얼널널거리고 흥개방개 논다”라는 구절이 반복된다. 「방개 타령」은 경복궁을 짓는 과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먹통자를 들고 있는 모습, 석회나 모래를 넣고 방아에 찧는 회방아질, 경복궁을 지으며 큰 북을 울리는 모습 등을 묘사하고 있다.
조선의 십삼도 실만한 낭근/ 경복궁 집짓는데/ 대들뽀 감으로 나간다/ 얼널널 흥개방개가 논다/ 먹통자하는 저 등봐라/ 먹통자 들고 갈팡일팡한다/ 얼널널거리고 흥개방개가 논다/ 이여하 소리가 기 무슨 소린가/ 경복궁 집짓는데/ 희방 애닷는 소리로다/ 얼널널거리고 흥개방개 논다/ 쿵자작동하는 소리가 그 무슨 소린고/ 경복궁 집짓는데/ 큰북 울니는 소리다/ 얼널널거리고 흥개방개 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