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1269
한자 道東曲
영어공식명칭 Dodonggok(Literary Writi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내죽리 152-8]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권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95년 - 주세붕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541년연표보기 - 「도동곡」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54년 - 주세붕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03년 - 「도동곡」 『죽계지』에 수록
배경 지역 백운동서원[소수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내죽리 152-8]지도보기
성격 경기체가
작가 주세붕

[정의]

1541년 영주 지역 백운동서원에 제향된 안향을 기리며 주세붕이 지은 경기체가.

[개설]

「도동곡(道東曲)」은 1541년(중종 36)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전한 안향(安珦)을 기리고자 지은 전체 9장의 경기체가이다. 주세붕은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안향을 제사지내기 위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하였으며, 「도동곡」, 「육현가(六賢歌)」, 「엄연곡(儼然曲)」, 「태평곡(太平曲)」 등 여러 편의 경기체가를 지었다. 「도동곡」주세붕이 백운동서원과 관련된 글을 엮어 놓은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도동곡」은 전체 9장으로 되어 있으며, 백운동서원[소수서원]에서 거행된 봄·가을에 제사를 지낼 때 술잔을 올리는 과정에서 불렀던 것이다. 초헌관의 제례가 끝나면 「도동곡」 첫 3장을 부른다. 아헌관의 제행이 끝나면 「도동곡」 중간 3장을 부르고, 종헌관이 마지막으로 제행을 끝내면 「도동곡」 종장 3장을 부르는 것으로 제례는 끝난다.

[내용]

「도동곡」에는 도(道)의 연원과 도의 실천, 공자·주희 등의 도학 칭송, 도학이 안향에 의하여 우리나라로 들어오게 된 의미 등을 담고 있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복희 신농황제 요순이(재창) 하늘을 이어 법을 세우시니, 그 광경 어떠한고

[2장]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민민하니 정밀하고 전일하여야만 실로 중(中)을 잡을 수 있다는 말로 주고받는 성인의 심법(心法)이란 이것뿐이로다

[3장] 우(禹) 탕(湯) 문왕(文王) 무왕(武王)과 고요(皐陶) 이윤(伊尹) 주공(周公) (재창) 군신이 서로 만나시니, 그 광경 어떠한고

[4장] 하토(下土)가 아득하니 상제께서 이를 걱정하셔 우정대인[공자]을 수사(洙泗) 위에 내리시니 만고 연원이 그치지 아니하다

[5장] 안연(顔淵)의 사물(四物)과 증자의 삼성(三省)이여. 우러러 봄에 더욱 높고 뚫으려 함에 더욱 견고하며 앞에 보이는 듯하다가 문득 뒤에 있도다. 성인을 배우며 수고로움을 잊으셨으니, 그 광경 어떠한고

[6장] 따라야 할 것은 하늘이 명한 성(性)이며 함양해야 할 것은 호연(浩然)한 기운 (재창) 지성무식(至誠無息)이 근본이니라

[7장] 광풍제월(光風霽月) 서일상운(曙日祥雲) (재창) 도통이 끊어진 기나긴 날에 어떻게 아셨을까?

[8장] 사람 욕심 걷잡을 수 없어 하늘까지 뒤엎었도다. 1천5백 년 만에 주자께서 태어나시어 경(敬)으로 근본을 세워 큰 언덕을 만드시고 옛 성인 이으시고 후학을 열어주셨도다. 아, 공자와 다를 바 없으랴!

[9장] 삼한(三韓) 천만 년에 진유(眞儒)를 내리시니, 소백산이 여산(廬山)이요, 죽계수가 염수(濂水)로다. 학교를 일으키고 도를 보위함은 작은 일이겠지만 주자를 높이 모신 그 공이 크시어 우리나라에도 도(道)가 전하여졌으니, 그 광경 어떠한고

[특징]

「도동곡」은 제사의 대상이 되는 안향의 공덕을 드러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의의와 평가]

「도동곡」은 16세기에 지어진 경기체가 형식의 최후 작품으로 한국 국문학사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