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열읍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에 속하는 마을. 금성마을의 지형은 풍수상으로 보검출갑형(寶劍出匣形)이라고 한다. 지형이 ‘날카로운 칼’로 보인다 하여 ‘칼 검(劍城)’과 ‘재 성(劍城)’, 즉 ‘검성(劍城)’을 명칭으로 썼다가, 이후 ‘금성(金城)’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전해진다. 금성마을은 예전에 시장이었다. 사람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걸망장터’,...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다송리에 속하는 마을. 방교(芳橋)는 방아다리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이 마을의 지형이 디딜방아의 다리처럼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는 모양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방교마을이 속한 다송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야리와 방교리 전 지역과 상마리, 익산군 사제면 만대리의 일부로 형성되어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면 다송리로 개설...
오산면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에 속하는 마을. 조선 말까지는 마을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 사람들이 절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광절리’라고 마을 이름을 지었다. 이후 ‘광지’로 명칭이 변경될 때 마을 앞에 있는 바다를 보고 못[연못]이라 잘못 불러 ‘못 지(池)’로 광지(光池)마을이라 정해졌다고 한다. 광지마을이 속한 신지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속하는 마을. 신중(新仲)마을은 섬안상, 고라, 새터이라고도 불렸다. ‘섬안상’이란 명칭은 ‘섬안 상애’를 줄인 말이다. 이 마을이 원래 상애마을에 속했는데, 상애마을과 구분하기 위해 ‘섬안 상애’라고 불렀다고 한다. 1912년경 홍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둑을 새로 쌓았는데, 이후 마을이 섬과 같아졌다고 하여 ‘섬 안의 상애마...
황등면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에 속하는 마을. 예전에는 마을 아래까지 배가 드나든다고 해 ‘뱃길’이라 불렀으나 이후 ‘백길’로 바뀌어 불러졌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북일면의 보삼리·신기리·백길리, 남일면의 황방리·상동리·죽촌·방하리, 임피군 동일면의 방교리 각 일부와 신정리·신등리 전 지역을 합병하여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가 개설되었다. 품질이...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죽촌리에 속하는 마을. 화농마을의 옛 지명은 수렁고지, 수렁골이었다. 마을 주변의 논들이 전부 수렁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수렁’을 이두로 표현해 ‘수농[禾農]’이라 한 것이 현재의 ‘화농(禾農)’이 되었다. 화농마을을 자연마을로 두고 있는 죽촌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화농리·죽촌의 일부와 마전리·창평리·...
함라면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목리에 속하는 마을. 옛날에는 ‘소농(巢農)’이란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남병산에 쌓여 있는 마을이 겉보기에 용이 서리고 있는 형태라 하여 소룡(巢龍)이라 하였다고 한다. 덧붙여 ‘용이 살고 있는 집’ 혹은 ‘칠목제 산이 용을 닮았다’ 하여 ‘소룡(巢龍)’으로 불리기 시작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소룡마을이 있는 신목리는 1914년...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에 속하는 마을. 예전에 함열군 관아가 있던 마을로 ‘머리골’이라 하였다. 머리골을 ‘수동(首洞)’이라 하였는데, 이후 ‘수동(壽洞)’으로 바뀌었다. 수동마을이 있는 함열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교동, 행동, 천남리, 천북리, 수동, 안정리 갈마동을 합병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함라면 함열리로 개설되었다. 수동(壽洞)마을은...
웅포면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에 속하는 마을. 원래 ‘가죽 피(皮)’와 ‘개 포(浦)’를 써 ‘피포’ 마을이라 불렀다. 조선 초 있었던 덕성창(德成倉)이 성당포로 옮겨진 후 창고만 남았다는 뜻에서 옛날 창고라는 의미의 ‘고창(古倉)’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덕성창은 호남 북부 지역 20개 고을의 조세미를 저장하는 창고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마리, 대마리를...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대붕암리에 속하는 마을. 상제마을은 제석리의 윗동네[上帝]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나루세, 양지편, 잿배기 등으로 불려 왔다. 나루세는 나룻터에 가는 길가라는 의미이고, 양지편은 양지바른 곳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이다. 잿배기는 언덕의 구릉지대에 마을이 들어서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상제마을에서 1000여 년 정도 된...
성당면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부곡리에 속하는 마을. 본래 천민 집단을 뜻하는 ‘부곡(部谷)’이란 명칭을 갖고 있었다. 한 윈님이 이곳을 지나면서 꼭 부자들이 잘 살고 있는 마을인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였고, 이에 부곡(部谷)에서 ‘떼 부(部)’를 ‘부유한 부(富)’로 고쳤다고 한다. 그 이후부터 부곡리(富谷里)라 불리게 되었다. 큰 동네가 형성되기 이전엔 자라밭, 안평, 닭모...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와초리에 속하는 마을. 상와마을은 기와를 만들던 마을이라 ‘상와(上瓦)’라 불렀다고 한다. 상와마을이 속한 와초리 또한 기와를 굽던 곳을 뜻한다. ‘와초(瓦草)’는 기와의 옛말 ‘디새’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함열군 동일면의 대선리, 와초리, 갈산리, 장선리와 함열군 북이면의 부곡리, 성당리, 두동리가...
용안면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에 속하는 마을. 용안면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중신(中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용안면 중신리에는 상신, 중신, 하신이 크게 나누어져 있고, 그중 중신은 조선 초 평택임씨 일가가 살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임씨 일가는 고려 멸망 때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중신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익산군청이 함열에 있었...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칠목리에 속하는 마을. ‘칠목’이라는 명칭에 관해서는 여러 유래가 전해진다. 옻나무가 많아 ‘칠목(漆木)’이라 불렀다는 이야기, 그리고 ‘질목[길목]’을 ‘칠목’으로 발음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지형이 북두칠성처처럼 생겨서 ‘칠목’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가축과 작물이 잘 자란다는 뜻에서 ‘칠목(七牧)’이라 불렀다는 마을유래담이 유력한 명칭...
낭산면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속하는 마을. 마을의 뒷산이 말[馬]의 생김새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함안군(咸安君)이 조선 성종 때 마산마을에 정착하여 마산에 말[馬]을 방목하였다고 하여 ‘마산(馬山)’ 마을이라 불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과거에는 마산마을에 김천송씨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잘 살았다고 한다. 한창 번창하다가 토지개혁 등의 사건으로 쇠락하였다고 전...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속하는 마을. 방교(坊橋)는 방아다리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마을 지형이 Y자 형인 디딜방아의 다리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방교마을은 집성촌이라기보다 미륵산 줄기로 흘러내리는 물이 좋아 60~70년 전에 사람들이 모여 자연부락을 형성하였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빈촌이었다고 한다. 서쪽에 낭산산[162m]이 있는...
망성면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에 속하는 마을. 교항마을은 본래 ‘깊으네’ 혹은 ‘다리목’이라 불렸다. 여산에서부터 내려온 강경천(江景川) 옆의 들판은 지형이 많이 낮아 소나기만 내려도 깊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물이 많이 찼다. 그래서 마을 이름을 ‘깊으네’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후 강경천을 건너는 다리가 세워져 ‘다리목’이라 하였다. ‘다리목’을 한문자로 표...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에 속하는 마을. 조선 후기에 편찬된 지리지 『여지도서(輿地圖書)』 여산부 조에 나오는 ‘금지제(金池堤)’라는 지명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금지마을이다. 옛날에는 마을에 마른 못이 있었다 하여 ‘건못’이라 불렀다고 하며. 마을 명칭이 못과 관련이 되어 있어서 쇠 금(金)과 못 지(池)를 더하여 ‘금지마을’이라 하였다. 금지마을이 속한...
여산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에 속하는 마을. 천호산의 북쪽에 삿갓이 뒤집힌 형태[원추형(圓錐形)]로 생긴 천호동굴이 있는데, 비가 내리면 동굴 속으로 빗물이 흘러 들어갔다. 이를 ‘시어목’, 즉 ‘물이 새어 들어가는 목’이라 하였다. 이후 ‘시어목’을 한자로 표기해 ‘샐 누(漏)’, ‘목 항(項)’을 써서 누항(漏項)마을이라 불렀다. 누항마을이 속...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에 속하는 마을. 일제 강점기에 홍수로 인해 마을이 크게 피해를 본 적이 있었는데, 당시 면장이었던 김수한(金秀漢)이 높은 지대로 마을 사람들의 터를 옮겨 주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이 본 이름이었던 ‘들말’이 아닌 면장의 ‘수(秀)’와 ‘은혜 은(恩)’자를 합해 마을 명칭을 ‘수은(秀恩)’으로 정하였다. 본래 마을이 하천을 중심에 둔 들판에...
금마면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속하는 마을. 이 마을에는 원래 전주이씨인 이독진이라는 사람이 터를 잡아서 독적마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홍주홍씨들이 마을에 유입되었고, 지금은 구룡마을이라고 불린다. 국골 뒤에 있는 바위에 언제 누가 새겼는지 알 수 없는 ‘구룡동천(龜龍洞天)’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이를 보고 ‘구룡마을’이라 불렀다고 한다. 마을의 지형이 구...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속하는 마을. 옥동마을은 과거에 옥두말이라고 불렸다. 옥동마을이 위치한 동고도리에는 금마면의 치소(治所)가 있었는데, 옥동마을 앞에 감옥(獄)이 있었다고 한다. 이에 ‘옥 옥(獄)’과 ‘뒤 후(後)’, ‘마을 리(里)’, 즉 감옥 뒤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옥후리(獄後里)’라고 하였다. 여기서 ‘옥’의 한자가 ‘구슬 옥(玉)...
왕궁면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에 속하는 마을. 금광마을의 옛 이름은 능줄, 산수남이라 한다. 마을 뒤에 있는 옛날 돌무덤[古冢]을 ‘능’이라고 불렀는데, 능 줄기의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능줄’이라고 지었다. 또한 그 묘를 ‘산소’라 하고, 마을이 산소 너머에 있다 하여 ‘산소넘이’에서 ‘산수남이’로도 불렀다고 한다. ‘금광’이라는 마을 이름은 일본인들이...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용화리에 속하는 마을. 1972년에 신사(新寺)와 탄곡(炭谷)이 한 동네로 합쳐질 때 각 마을 이름에서 ‘신(新)’과 ‘탄(炭)’를 떼어와 신탄(新炭)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황동의 일부와 틴곡리, 화곡리, 신사동의 전 지역으로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용화리가 개설되었다. 1972년 용화리의 신사마을과 탄곡마을이 합...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에 속하는 마을. 이거마을은 이탄과 거목 두 마을이 합혀져서 생긴 이름이다. 일제 강점기 때 해로운 무연탄이 마을 근처에서 나왔는데, 이를 보고 니탄(泥炭)이라 불렀다. 니탄이 한문자로 ‘진흙 이(泥)’와 ‘숯 탄(炭)’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탄마을’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 거목산의 흙이 검은색이라 ‘이탄’이란 명칭이 붙었다는...
춘포면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에 속하는 마을. 중촌마을은 일제강점기 춘포리의 중심부에 형성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춘포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회화리, 간리, 김제군 회포면, 유강리의 각 일부와 신평리, 신룡리, 고잔리, 신월리의 전 지역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익산면 대장촌리로 개설되었고, 1917년에 익산군 춘포면으로 편입...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인수리에 속하는 마을. 예전에는 화평마을을 봉개마을이라 불렀다고 한다. 춘포산은 봉개산[봄개산]으로 불렸는데, 춘포산 기슭에 꽃이 많이 피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진다. 이 지역은 익산천이 흐르는 곳으로 배가 닿은 포구가 있는 마을이었다. 이 포구의 이름이 춘포였고, 이 때문에 산과 마을 이름 또한 춘포산과 춘포면이 되었다고 한다. 화평...
삼기면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간촌리에 속하는 마을. 원님이 마을을 지나가다 잠시 머물렀다 하여 ‘원촌’ 마을로 불러졌다는 설이 있으나, 사교원촌(蛇橋院村)을 축약하여 ‘원촌(院村)’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는 유래담이 더 설득력이 있다. 사교원촌은 옛날에 마을의 관리나 여행객[손님]이 묶었던 사교원(蛇橋院)이 있었던 마을이란 뜻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전라도 익산군 고적 조에는...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에 속하는 마을. 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금채낙지(金釵落地), 즉 금비녀를 닮았다고 하여 ‘비녀 채(釵)’를 써서 ‘채산(釵山)’이라고 불렀다. 이후 현재의 ‘채산(彩山)’으로 바뀌었다.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함열남궁씨(咸悅南宮氏)가 정착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채산마을이 속한 연동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
용동면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에 속하는 마을. 마을의 주산이 거북이와 똑같이 생겼다 하여 ‘구산(龜山)’이라 불렀다. 이후 거북 ‘구(龜)’ 대신 쉽게 쓸 수 있는 아홉 ‘구(九)’로 바뀌었다. 현재는 ‘구산(九山)마을’로 불린다. 그 밖에도 ‘왜막제’, ‘운교(雲橋)[구루메]’라고도 불린다. 왜막제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진을 친 자리라는 의미이다. 운교는 구루메[구름...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에 속하는 마을. 농소마을의 옛 명칭은 ‘농막’이었다. 농소마을은 들 가운데 위치하였는데, 농사철에만 이용하였던 농소(農所)[농막(農幕)]가 많아 ‘농소마을’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또는 금강과 가깝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덧붙여 농소마을을 문 안쪽에 마을이 있다는 뜻의 ‘문안’, 그리고 농수를 사투리로 발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