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1201
한자 柳田洞-宕巾-造山
영어공식명칭 Tanggeonbawi Rock and Josan in Jinbat Village of Yujeon-dong(Folktal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 『영주시사』2에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으로 수록
관련 지명 진밭마을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지도보기
관련 지명 탕건바위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지도보기
관련 지명 조산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지도보기
채록지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진밭마을 동네 사람들
모티프 유형 영험한 사물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에 있는 탕건바위와 조산의 유래와 관련해 전해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진밭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이다. 오래전부터 진밭마을에는 탕건바위의 영험함 때문에 과거 급제자가 많이 생겼고, 그것을 축하하기 위해 조산(造山)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현재 진밭마을의 조산은 동신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은 2010년 영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주시사』2에 수록되어 있다. 제보자는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에 거주하는 이강칠이다.

[내용]

진밭마을 동구 길목에는 오래된 느티나무가 있고 그 나무 바로 아래에 집채만 한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 생김이 옛날 벼슬아치가 쓰던 탕건 모양 같다 하여 그 바위를 ‘탕건바위’라 일컫는다. 또 탕건바위에서 조금 더 들어가면 세 군데 조산이 있다.

옛날 이 골짜기에는 벼슬에 오른 인물이 매우 드물어, 옛 『풍기군지』에는 “노좌에서는 풍기진씨, 청주한씨, 전주이씨에서만 벼슬이 있었다.”라고 했다. 그러나 탕건바위의 영험 때문이었는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마을에서 벼슬한 사람이 꽤 많이 배출되었다. 전주이씨에서 문과 급제자 두 명이 나오고, 음사로 벼슬한 이도 있었으며 인천채씨에서도 문과 급제자가 나왔다.

진밭마을 앞 세 군데의 조산들은 서너 길 높이의 조그만 봉우리들이다. 이는 마을에서 급제자가 나올 때마다 마을의 자랑이라 하여 동네 사람들이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해 힘을 모아 조산 하나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인천채씨 급제자의 경우 이 마을에서 출생했으나 어려서 여기를 떠나 다른 곳에 살았지만, 이곳 출신이라 하여 역시 조산을 만들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유전동 진밭마을 탕건바위와 조산」의 모티프는 영험한 사물이다. 오래전부터 진밭마을에 있던 바위가 벼슬아치들이 쓰던 탕건 모양이라 그 이름을 ‘탕건바위’라 불렀고,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의 영험함 덕분에 마을에서 과거 급제자가 많이 나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조산은 그 경사를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산이다. 두 사물은 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