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역과 다른 지역의 역 사이를 기차가 다닐 수 있게 연결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로. 우리나라 철도 역사는 1899년 9월 18일, 서울 노량진과 인천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 철도가 완공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경부선 철도가 1904년 12월 27일 완공되고, 1905년 1월 1일 개통되면서 종단 철로의 기본축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곧이어 19...
-
경기도 고양시 행신역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역으로 연결되는 고속철도. 익산역을 지나는 호남고속철도는 2015년 4월 2일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 광주까지 이동 시간은 1시간 33분, 서울에서 목포의 이동 시간은 1시간 46분으로 단축되었다. 호남고속철도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행신역을 시작으로 서울특별시 용산역을 거쳐...
-
전라북도 익산역과 충청남도 천안역을 연결하는 철도노선. 서해안을 따라서 전라북도 익산과 군산, 충남 천안까지 이어지는 160.2㎞의 철도 노선이다. 익산 지역에는 익산역 외에 오산리역이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1955년에 종점인 장항읍의 이름을 따서 장항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9년 8월 기준 전라북도 익산역부터 대야역, 군산역, 장항역, 서천역, 판교역...
-
전라북도 익산역에서부터 전라남도 여수엑스포역까지 이어진 철도. 전라선은 익산역을 출발하여 만경강의 호남평야를 지나 전주와 동부지방 임실·남원·곡성·구례를 지나간다. 따라서 호남 동부 지역의 산간지방 산업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덕유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이 전라선 주변에 있어 관광자원 개발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전라선은 사설철도로 부산초기...
-
대전광역시 대전조차장역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의 익산역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역까지 연결하는 철도. 경부선이 갈라지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조차장역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와 논산·호남·나주평야를 거쳐 전라남도 목포시의 목포역까지 이르는 철도이다. 길이는 252.5㎞이다. 호남선은 익산 지역에 익산역과 황등역, 함열역, 용동역이 있다. 황등역은 무배차 간이역으...
-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에 있는 기차역. 코레일 전북본부가 있는 익산역은 호남선을 지나는 기차역으로 황등역과 부용역 사이에 있고, 전라선과 장항선이 지난다. 1912년 3월 6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1912-29호에 의거하여 호남선[대전-이리] 및 군산선을 개통하였고, 1915년 1월 1일부터 이리역[당시 보통역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15년 1월 1...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용지리에 있는 철도역. 다산역(多山驛)은 과거에 함열역[현재 일평균 승객 이용수가 약 300명 정도]과 황등역[폐역 수순을 밟던 중 익산역의 대공사로 인하여 현재 호남 지역 화물을 모두 중계하는 대형역의 역할을 함]을 연결해 주는 중간역이었다. 다산역은 1967년 6월 3일 임시 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다산역...
-
전라북도 익산시 동산동에 있는 철도역. 전라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익산역과 삼례역의 중간에 있다. 현재 동익산역의 등급은 보통역이다. 1912년 3월 이리와 강경간 호남선과 군산선이 개통되어 이리역, 이리보안구, 이리기관구가 개설되었다. 1912년 10월에는 이리부터 김제까지, 1914년 1월에는 목포까지, 11월 17일에는 전주까지 철도가 개통되어 1914년...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철도역. 오산리역(五山里驛)의 이름은 오산면의 중심산인 오산(鰲山)에서 따온 것이다. 역명을 지명에 맞춰 ‘오산역’으로 제정하려고 했으나, 경부선의 오산역과 이름이 겹쳐 ‘오산리역’으로 명명하였다. 오산리역은 여객 수요가 적어 1931년 6월 15일 천안 기점 150.9㎞ 위치에서 군산선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에 있는 기차역. 1953년 역이 개통되었을 때는 용안역(龍安驛)이었으나, 1986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용안면에서 용동면이 분리되면서 용동역(龍東驛)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용동역은 1953년 11월 15일 호남선의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55년 8월 11일 배치 간이역으로 승격되었고 화물 취급 가능역으로 지...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덕실리에 있는 철도역.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역은 과거 전라선이 지나는 곳이었으나, 현재는 폐역하고 역사(驛舍)만 남아 있다. 춘포역은 전라선의 역사(驛舍)로 1914년 건립되었고 본래 대장역(大場驛)이라는 이름을 하고 있었다. 당시 역 근처에 일본인 농장이 설립되어 만들어진 대장촌이라는 일본인 이민촌이 있어서 일본인들이 많이...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에 있는 철도역. 함열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의 함열읍에서 따온 역명이다. 현재 코레일 전북본부 소속으로 함열역은 호남선의 용동역과 황등역의 사이에 있고, 역의 등급은 보통역이다. 1913년 3월 1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12년 10월 1일 화물과 소화물 취급을 개시하였다. 1975년 12월 30일에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에 있는 철도역. 황등역은 호남선에 있는 철도역으로, 현재 여객 운행은 하고 있지 않다. 1970년대 히트곡인 나훈아 「고향역」의 배경이 된 역이다. 「고향역」은 작곡가 임종수가 학창 시절 황등역에서 기차 타고 남성중·고등학교를 통학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만든 노래로 알려져 있다. 황등역은 1943년 3월 6일 보통역으로...
도로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있는 차가 다니는 큰길. 전라북도 익산시는 호남고속도로가 동부를 지나고 국도1호선, 국도23호선 등 10여 개의 주요 국도와 주요 지방도로가 전국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1980년부터 금마에 고속도로 IC가 생기면서 전라도 내 3개의 시와 직결되어, 국도, 고속도로, 지방도로, 철도가 사통팔달로 연결된 호남 지방...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해전리를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에 이르는 일반국도. 국도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를 기점으로 전라북도 익산시를 통과하고 충청남도 천안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을 지나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종점으로 하는 일반국도이다. 국도1호선은 목포~신의주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1963년 일본이 건설한 신작로 중심으로...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국도.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을 기점으로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전라북도를 남동에서 북서로 지나, 충청남도 서해안을 따라 가다가, 충청북도를 지나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까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도로이다. 국도21호선은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순창군~정읍시~김제시~전주시...
-
전라남도 강진군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에 이르는 국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출발하여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며, 종점에서 국가지원지방도23호선과 직결된다. 전라남도 강진군[강진읍·군동면·칠량면·대구면·마량면]~장흥군[대덕읍·관산읍·용산면·장흥읍·부산면·유치면]~영암군...
-
전라북도 군산시 옥서면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과 평화동을 거쳐 대구광역시 서구까지 이르는 국도. 국도26호선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군산공항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남도 거창군을 지나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전라북도 익산시 구간은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 남전리, 목천리...
-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를 지나 전라북도 군산시까지 이르는 국도. 국도27호선은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 오천항부터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동산동, 인화동, 평화동, 송학동, 오산면을 거쳐 전라북도 군산시 월명동 내항사거리까지 이어지는 국도이다. 국도27호선은 전라남도 고흥군[금산면·도양읍·도덕면·풍양면·고흥읍·두원면·점...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까지 이어진 지방도.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용안입구교차로에서부터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고봉교차로까지를 잇는 지방도이다. 지방도706호선은 익산시 웅포면[웅포리~고창리~맹산리~제성리]~성당면[성당리]~용안면[난포리~교동리]까지 금강을 따라 이어져 있다. 주요 경유지로는 웅포면사무소, 곰개나루...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서 전라북도 군산시를 거쳐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까지 이어진 지방도.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덕용교차로부터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옥정삼거리까지 이어진 지방도이다.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옥정리~연포리]~김제시 죽산면[죽산리~종신리]~김제시 성덕면[대석리~석동리]~김제시 만경읍[송상리]~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군산시 임피면~전라북도 익산...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까지 이어진 지방도.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회현사거리에서 군산시 회현면, 대야면을 지나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신리삼거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다. 지방도718호선은 지방도799호선에서 나뉘어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신작리~장선리~어량리]~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화배리]~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삼담리~호암리...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송학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를 잇는 지방도. 지방도720호선은 호남고속도로와 익산 시내를 연결하고 있는 지방도로이며, 총 길이는 11.748㎞이다.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이기 때문에 7××로 시작되며, 관할 지역[전라북도] 내부 연결 노선이므로 1~50번 이내의 노선번호가 지정되었다. 또한,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지방도이기...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를 잇는 지방도.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이기 때문에 7××로 시작되며, 관할 지역[전라북도] 내부 연결 노선이므로 1~50번 이내의 노선번호가 지정되었다. 또한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지방도이기 때문에 뒷자리는 짝수이다. 지방도722호선은 총 길이 29.256㎞[4차로 4.878㎞, 2차로 24.3...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전라북도 익산시를 지나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까지 연결된 지방도. 지방도723호선이 지방도722호선 등 겹치는 구간을 제외하고 익산시를 지나는 길은 백제로를 따라 웅포대교를 지나서 부여군 양화면 내성리까지 이어진 길이다. 지방도723호선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전라북도 익산시 팔봉동~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충...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과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를 잇는 지방도.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이기 때문에 7××로 시작되며, 관할 지역[전라북도] 내부 연결 노선이므로 1~50번 이내의 노선번호가 지정되었다. 또한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지방도이기 때문에 뒷자리는 짝수이다. 지방도724호선은 총 길이 19.9㎞[4차로 0.5㎞, 2차로 19.4㎞]로 구...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교창삼거리에서 여산면 호산리를 지나 전라북도 완주군까지 이어진 지방도.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이기 때문에 7××로 시작되며, 관할 지역[전라북도] 내부 연결 노선이므로 1~50번 이내의 노선번호가 지정되었다. 또한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지방도이기 때문에 뒷자리는 짝수이다. 2019년 『도로현황조서』에 따르면 총 길이 40.31㎞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부터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까지 이어진 지방도.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이기 때문에 7××로 시작되며, 관할 지역[전라북도] 내부 연결 노선이므로 1~50번 이내의 노선번호가 지정되었다. 또한 남북 방향으로 지나는 지방도이기 때문에 뒷자리가 홀수이다. 지방도741호선은 2019년 『도로현황조서』를 기준으로 총 길...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부터 경기도 평택시까지 이어지는 고속국도. 익산시에서 평택시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서부내륙고속도로라고도 칭한다. 고속국도17호선의 총 길이는 132㎞이며, 4~6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재원 조달과 총 연장 측면으로 보면 역대 민자고속도로 중 최장이면서 최대 규모이다. 서해안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에 집중된 교통량을 분산...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를 기점으로 하고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를 종점으로 하는 새만금포항선의 지선인 국도. 고속국도204호선의 노선번호는 도로관리청에서 부여하였으며, 새만금포항선[고속국도 제20호선]에서 갈라져 나오므로 관련법령[「고속국도 등 도로 노선번호 및 노선명 관리지침」 제5조 고속국도 4항]에 의거하여 세 자리 숫자가 부여되었다. 또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홍해읍 대연리까지 연결되는 고속국도. 고속국도20호선은 전라북도 익산을 거쳐가는 도로이다. 익산포항고속도로로 불렸다가 새만금까지 연장되어 2019년 현재 새만금포항선이라고 부른다. 고속국도20호선은 익산과 장수, 대구와 포항을 잇는 동서축 노선이다. 총 길이 129.40㎞이며, 4차로 96.22㎞, 6차로 33...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이어져 있는 고속국도. 「도로법」 제11조[고속국도의 지정·고시]에 의거하여 지정·고시된 고속국도25호선은 호남을 가로지르는 남북 간선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2자리이며 끝자리가 5로 되어 있다. 전라남북도를 지나기 때문에 호남선이라고도 불린다. 고속국도25호선은 논산~천안간고속도로[82.04...
버스터미널
-
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에 있는 고속버스터미널. 1970년에 설립된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 안산, 인천 등으로 운행하여, 익산 시민이 수도권으로 이동할 때 이용한다. 현재까지 시민의 이용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1970년에 익산시외버스터미널 옆에 건립되었다. 자가용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던 시기에 익산 시민들의 이동수단이 되어 주었다.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은 주...
-
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익산시외버스터미널는 익산 시민의 교통 편의를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 전주, 군산, 김제, 부안 방면 등의 노선을 운영하여 전라북도 지역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익산시외버스터미널은 자가용이 없던 시절 시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건립되었다. 전주와 군산을 잇...
교량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지형과 지물을 건널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 2019년 기준으로 익산시에 설치된 교량의 수는 육교 10개, 지하보도 1개, 지하차도 5개를 제외하면 총 151개이다. 그중 익산을 분기하는 고속국도에 설치된 교량은 9개인데 삼례육교와 온수육교를 포함하게 된다면, 총 11개이다. 고속국도에 설치된 교량은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한다. 국도에 설치된 교량은 육...
-
전라북도 익산시 목천동에 있는 다리. 고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목천동에 있는 목천포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고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목천동에 있던 고잔리라는 마을 이름을 따서 교량명이 지어졌다. 본래 고잔리는 김제군 백구면 상정리에 속하였는데, 1973년 익산시 목천동에 편입되었다. ‘고잔’이라는 말은 ‘고지안’의 줄임말인데, ‘...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오산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관음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의 관음마을[관음리]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과거 관음리 지역[지금의 오산리]에 관음사가 있었다고 한다. 2차선의 교량으로 길이는 33.0m, 교폭은 9.0m, 유효 폭은 8...
-
전라북도 익산시 인화동2가에 있는 다리. 나룻교는 목천포천을 넘어다닐 수 있는 나룻2교와 이어진다. 인근에 대동철강, 대진전기, 금호정밀, 디에스 미래테크 등 산업단지 업체들이 밀집하고 있어서 인화동 산업단지 내 교류 역할을 한다. 나룻교의 교량명은 과거 만경강의 나루터가 있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94년 12월 1일 동산동의 ‘나룻가...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다리. 남외천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낭산저수지에서 흐르는 물길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며, 낭산리의 도로 아리랑로와 연결되어 있다. 2차선의 교량으로 길이는 13.0m, 교폭은 8.5m, 유효 폭은 7.1m, 교량의 높이는 4.1m이다. 교량의 경간 수는 1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13.0m이...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에 있는 다리. 맹동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에 있는 죽정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맹동교는 인근에 있는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 맹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맹동(孟洞)은 ‘맹골’이라 불리던 마을로, 인근의 한기마을에서 새로 생긴 동네를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본다는 의미의 ‘망골[...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다리. 모현대교는 익산역에서 충청도와 서울특별시·수도권 지역으로 올라가는 장항선, 전라선, 호남선의 철로 위에 지어진 다리이다. 익산 지역의 중앙동과 남중동, 모현동 사이의 원활한 교통로 확보를 위해 지어진 교량이다. 모현대교의 명칭은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의 동명에서 유래하였다. 모현동은 본래 옥야현 지역이...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다리. 미륵교(彌勒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낭산저수지를 둘러싼 도로 아리랑로를 원활하게 연결시켜 주는 교량이다. 미륵산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낭산면, 삼기면의 중심에 걸쳐 있는 산이다. 미륵산의 남쪽 밑으로 내려가면 백제 무왕(武王)이 세운 미륵사가 있다. 미륵사가 지어진 이후부터 ‘미륵...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의 발산리와 구덕리를 잇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의 발산마을과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의 앵금마을 사이의 왕궁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발산교는 인근의 발산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발산’’이라는 이름은 하발에 속한 신궁촌의 지형이 꼭 승려의 바리때나 둥근 소쿠리 속처럼 생겼다고 하여...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에 있는 다리. 삼산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서 금강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 함열천을 건널 수 있도록 건립된 다리이다. 삼산교는 인근에 있는 삼산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삼산마을은 ‘삼등마을’로도 불렸는데, 산봉우리가 세 개 나란히 있어서 생겨난 이름이라고 한다. 2차선의 교량으로 길이는 36.0m, 교폭은...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용산리에 있는 다리. 소산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용산리의 ‘소산리’라는 마을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소산리는 작은 산 옆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교량의 길이는 12.0m, 교폭은 5.5m, 유효 폭은 5.0m, 교량의 높이는 2.4m이다. 교량의 경간 수는 2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6.0m이다. 상부구조...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에 있는 다리. 시대교(始大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에 있는 부상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시대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에 있는 시대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시대(始大)’라는 마을 이름은 인근의 큰 산인 시대산(始大山)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다리. 어동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어량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1970년대까지는 가뭄이 지속되면 어동교 부근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어동교는 어량리에 속한 어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어동’은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량리...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다리. 연화교(蓮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산북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연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안의 ‘연화리’라는 마을명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연화리가 풍수지리적으로 연화도수형(蓮花到水形)의 지형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연화도수형은 연...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오산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오산교(五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있는 오산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마을 뒷산인 오산(鰲山)이 자라의 형상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오산리의 ‘오’ 자는 ‘자라 뫼[산]’라는 뜻을 가...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에 있는 다리. 용성교(龍城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의 대조천을 경계로 나누어진 용성리와 구산리를 연결해 주는 중심 교량이다. 용성교는 용성리의 마을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용성마을은 마을 동북쪽에 칠성바위라는 7개의 바위가 있었고 동리 앞들에서 용마가 죽었다는 전설을 유래로 마을 이름이 정하여졌다. 2차선의 짧은 교...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목리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다망리 사이를 잇는 다리. 우보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목리와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다망리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우보교는 탑천을 넘어 다니기 위해 건립된 교량으로 함라로와 연결되어 있다. 2차선의 교량으로 총 길이 22.0m 교폭은 10.5m, 유효 폭은 10.5m, 교량의 높이는 2.5m 이다....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에 있는 다리. 원기산교의 교량명은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의 마을 이름과 연관이 있다. 기산리는 인근의 산 기산(箕山)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원기산은 기산리에 속해있는 마을 이름으로, 기산과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것이라 한다. 원기산마을 인근에 교량이 건립되면서 산의 이름을 따와 ‘원기산교’로 교량명이 정해졌다. 교량의...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다리. 장암교(場岩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장암마을의 이름을 따서 교량명이 지어졌다. 장암(場岩)이라는 이름은 ‘마당바우’로도 불리는데, 마을 내에 마당처럼 생긴 넓은 바위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교량의 길이는 총 24.0m, 교폭은 7.5m, 유효 폭은 6.0m, 교량의 높이는 2.0m이다. 교량의...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용기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용기리에 있는 죽정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중리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용기리의 중리(中里)라는 지역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중리’라는 마을의 명칭은 배바위마을과 덕령골의 중간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교량의 길이는 40.0m, 교폭은...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간촌리에 있는 다리. 중리교는 전라북도 익산시의 하나로에 속하는 다리이며,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의 간촌리와 용연리 사이의 가양천을 넘어 다닐 수 있다. 중리교는 중리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은 교량명이다. 중리(中里)는 간촌과 석라동의 중간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6차선의 교량으로 총 길이 76.0m, 교폭은 50.5m, 유...
-
전라북도 익산시 부송동에 있는 다리. 팔봉교(八峰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임상동에 위치한 탑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팔봉교는 인근 팔봉산(八峰山)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교량명이다. 팔봉산은 원팔봉마을의 뒷산인데, 여덟 봉우리가 있어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교량의 길이는 총 33m, 교폭은 5.6m, 유효 폭은 5.1m, 교량의 높...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호천마을과 하발마을 사이의 어량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세워진 교량이다. 하발교는 인근에 있는 하발마을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교량명이다. ‘하발’이라는 이름은 어량리에 위치한 발산[45.3m]의 이름을 상, 중, 하로 구분하면서 생겨났다. ‘발산’이라는 이름은 산의...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 있는 다리. 고속국도25호선과 연결되는 교량이며,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 있는 왕궁천 인근 지형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흥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의 마을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교량명이다. ‘흥암’이라는 이름은 신흥(新興)과 후암(後岩)에서 한 글자씩 따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신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