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026
한자 住生活
영어공식명칭 Housing Life
이칭/별칭 주거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인균

[정의]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문화와 생활양식이 반영된 주거 유형과 양식.

[개설]

영주시는 전통적인 농촌 지역이면서도 벼농사보다 과수 농사가 중심인 곳이다. 해방 이전 한옥이 다수였던 영주시는 1970년대 이후 정부의 마을구조개선사업으로 점차 서구식에 가까운 가옥이 건축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영주시에는 대체로 주택과 아파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거 한옥의 원형은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선비촌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통 한옥 양식]

영주 무섬마을의 한옥은 유교문화권 개발사업의 목적으로 시작된 마을정비사업으로 인해 기존 슬레이트집을 원래의 초가 또는 기와집으로 복원하였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던 해우당 고택, 만죽재 고택, 영주 수도리 김뢰진 가옥, 영주 수도리 김규진 가옥, 영주 수도리 김정규 가옥, 영주 수도리 박덕우 가옥 등 민속 건축 자료들이 있어 과거의 주거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

무섬마을에서 나타나는 한옥의 유형은 ㅁ자형 가옥, 까치구멍집, ㅡ자형 가옥, ㄷ자형 가옥, ㄱ자형 가옥 등이 있는데, 그중 ㅁ자형 가옥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무섬마을에 나타나는 ㅁ자형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로 나뉠 수 있다. 안채에는 안방, 상방, 대청마루, 도장방, 부엌, 고방 등이 존재하고, 사랑채에는 사랑방, 마루방, 책방, 모방, 작은사랑, 마구 등이 있다. 무섬마을의 ㅁ자형 가옥의 대부분은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지어져 있으며, 이는 좋은 시야와 채광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영주 지역의 남아 있는 고택들 대부분은 ㅁ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一자형 집과 ㄱ자형 집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축된 지 100년 이상 된 고가옥의 경우 대체로 ㅁ자형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새마을운동 이후 새롭게 지어진 집들은 一자형에 별채를 둔 형태가 많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지어진 집은 一자형이거나 안방이 돌출된 ㄱ자형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현황]

2018년 기준으로 영주시는 외곽으로는 아파트를 비롯하여 현대식 건물이 다수 신축되었지만, 내곽으로는 1980년대 이후 지어진 주택이 대부분이다. 현재 영주시는 택지개발지구인 영주시 가흥동을 중심으로 신시가지가 형성되고 있다. 주거 형태는 대부분 아파트 또는 빌라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영주 지역의 읍면 소재지에는 대부분 슬레이트 지붕의 주택이지만 새로 건축되는 가옥은 현대식 시멘트 벽돌집이 다수이다. 다른 지역과는 달리 대부분 영주 지역 가옥 형태는 슬레이트 지붕의 주택이며 최근 들어 현대식 시멘트 벽돌 주택 또는 아파트가 건축되고 있다.

영주시의 경우 교통의 요지이자 과수 농사가 활발한 지역으로 외지인의 귀촌이 잦다. 영주 지역에 귀촌하는 외지인은 대부분 과수 농사 또는 숙박업을 업으로 삼고 있으므로 2000년대 후반 들어 현대식 시멘트 벽돌집이 늘어나고 있으며, 펜션과 같은 형태의 가옥이 다수 건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