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412
한자 周世鵬肖像
영어공식명칭 Portrait of Ju Se-bung
이칭/별칭 주세붕 영정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80[청구리 34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태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3월 18일연표보기 - 주세붕 초상 보물 제71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주세붕 초상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소수박물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80[청구리 346]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소수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내죽리 152-8]지도보기
성격 초상화
소유자 소수서원
관리자 영주시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수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주세붕의 초상화.

[개설]

주세붕 초상(周世鵬肖像)은 문신 주세붕(周世鵬)[1495~1554]의 초상화로 16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주세붕 초상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에 보관 중이었으나, 현재는 소수박물관으로 옮겨져 관리되고 있다. 초상의 주인공인 주세붕은 1541년(중종 36)에 풍기군수로 부임하였으며, 1543년에는 안향(安珦)을 제향하는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하는 등 향학 육성과 학문 진흥에 힘쓴 인물이다. 백운동서원은 훗날 이황(李滉)의 청원에 따라 소수서원(紹修書院)으로 사액되었다. 1633년(인조 11)에는 교육 진흥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소수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이때 초상도 함께 봉안된 것으로 보인다. 주세붕 초상은 1981년 3월 18일 보물 제71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주세붕 초상은 견본 채색으로 크기는 세로 72.9㎝, 가로 55.1㎝이다. 화면 상부에는 넓게 여백을 두고 아래로 인물을 크게 배치해 놓았으며, 왼쪽 얼굴의 70% 정도를 보이는 좌안칠분면(左顔七分面)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주세붕 초상은 상반신만 그린 점과 화면 상단에 공간을 남기고 있는 구도 등으로 볼 때, 국보 제111호로 지정된 ‘안향 초상’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주세붕 초상은 오사모(烏紗帽)에 관복을 입은 모습으로서, 부리부리한 눈과 성긴 수염 등 윤곽이 뚜렷하며 매우 과단성 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보인다. 화면이 많이 훼손되어 자세한 필법은 살필 수 없으나, 선 위주로 안면의 이목구비를 묘사한 점, 옷 주름 부위에 약간의 선염기(渲染氣)를 삽입한 점 등으로 볼 때 주세붕이 생존했을 무렵이나, 세상을 떠난 직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특징]

주세붕 초상은 복식의 특징이나 필법으로 미루어보아 16세기 초상화 양식으로 보이며,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한편, 주세붕 초상은 현재 상주주씨 문중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한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의 저본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현재 남아있는 16세기의 초상화가 대부분 공신상인데 비해, 영주 소수서원주세붕 초상화는 인물의 개성을 강조한 반신상 초상화로서 희귀하고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