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591
한자 琴是調
영어공식명칭 Geum Si-jo
이칭/별칭 경평(景平),신암(新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7년연표보기 - 금시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2년 - 금시조 생원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금시조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47년 - 금시조 영해부사 재임
몰년 시기/일시 1668년연표보기 - 금시조 사망
부임|활동지 금시조 부임지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묘소|단소 금시조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봉화(奉化)
대표 관직 영해부사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개설]

금시조(琴是調)[1587~1668]는 문과 급제 후 영해부사 등의 관직을 지냈다.

[가계]

금시조의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경평(景平), 호(號)는 신암(新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금원수(琴元壽), 할아버지는 진사 금인(琴軔)[1510~1593], 아버지는 생원 금복고(琴復古)[1549~1632], 어머니는 남계홍(南繼洪)의 딸 영양남씨(英陽南氏)이다. 부인은 사복시정을 지낸 김윤안(金胤安)의 딸 선성김씨(宣城金氏)이다. 아들이 없어 동생 금시해(琴是諧)의 셋째 금성달(琴聲達)에게 후사를 잇게 하였다.

[활동 사항]

금시조는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해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에 정진하였다. 1612년(광해군 4) 증광시 생원으로 입격하였고, 1624년(인조 2)에 식년시 병과(丙科)로 등과하면서, 본격적인 사환의 길로 들어섰다. 네 곳의 수령을 역임한 이후 품계가 통훈대부에 이르렀고, 이후 봉상시첨정과 춘추관을 겸직하였다. 광해군 재위 때에는 인목대비 폐비를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1647년(인조 25) 영해부사로 재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금시조의 후손인 금칠현(琴七絃)이 1966년 금시조의 유문을 모아 『신암집(新巖集)』을 간행하였다.

[묘소]

금시조의 묘소는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