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669 |
---|---|
한자 | 張緯恒 |
영어공식명칭 | Jang Wi-hang |
이칭/별칭 | 천응(天應),운소(雲巢),와은(臥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병훈 |
출생 시기/일시 | 1678년 - 장위항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05년 - 장위항 생원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27년 - 장위항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731년 - 장위항 전적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32년 - 장위항 사헌부감찰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33년 - 장위항 자인현감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747년 - 장위항 사망 |
출생지 | 장위항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면 |
거주|이주지 | 장위항 이주지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 |
외가|처가 | 장위항 외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면 |
부임|활동지 | 장위항 부임지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
묘소|단소 | 장위항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월호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인동(仁同) |
대표 관직 | 자인현감 |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문신.
[개설]
장위항(張緯恒)[1678~1747]은 지금의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영조 연간 색목(色目)이 만연했던 현실을 개탄하며, 이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향촌에서는 향교·서당·서원의 기문과 상량문 등을 지었으며, 직접 운곡서당(雲谷書堂)을 경영하는 등 문풍 진작을 위해 힘썼다.
[가계]
장위항의 자는 천응(天應), 호는 운소(雲巢)·와은(臥隱),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장여화(張汝華)[1566~1621], 증조할아버지는 장용경(張龍慶)[1604~1695], 할아버지는 장련(張璉), 아버지는 장옥상(張玉相)이다. 어머니는 이세구(李世龜)[1646~1700]의 딸 선성이씨(宣城李氏)이며, 부인은 통덕랑 전만중(全萬重)의 딸 옥천전씨(沃川全氏)이다.
[활동 사항]
장위항은 1678년(숙종 4) 외가인 안동부 풍산현에서 출생하였다. 17세 때 이유장(李惟樟)[1625~1701]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때때로 재종조인 장신(張璶)[1629~1711]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704년(숙종 30) 아버지가 위독하여지자 증세를 살피며 시약(侍藥)하였다. 1705년에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1727년(영조 3)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장위항은 1731년 전적, 1732년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었다. 1733년 자인현감으로 부임하였으며, 1735년(영조 11) 임기를 마친 후 귀향하였다. 1736년 영천군(榮川郡) 남쪽의 와운곡에 숙야재(夙夜齋)와 역락헌(亦樂軒)을 짓고 ‘운곡유거(雲谷幽居)’라고 하였으며, 둑을 쌓아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심은 뒤 ‘사우포(四友圃)’라 명명하였다. 당시 와운곡 남쪽에는 장신이 세웠던 운곡서당이 있었는데, 세월이 오래되어 폐허가 된 상태였다. 이에 동네 부로 들과 논의하여 운곡서당 곁에 재와 당을 옮겨 세우고는 전토를 갖추었으며, 이곳에서 동네 수제자들과 책을 읽으며 학문을 토론하였다.
[학문과 저술]
장위항의 문집으로 6권 3책의 『와은집(臥隱集)』이 전한다. 『와은집』은 1767년(영조 43)에 증손자 장성구(張成矩)가 편집하였고, 1897년(광무 1)에 7대손 장사후(張師厚)가 간행하였다.
[묘소]
장위항의 묘소는 영주시 문수면 월호리 노평산(魯坪山)에 있다.
[상훈과 추모]
장위항의 동생 장위방(張緯邦)[1697~1753]이 가장, 1747년(영조 23) 이광정(李光庭)[1674~1756]이 묘지명, 1751년(영조 27) 권상일(權相一)[1679~1759]이 행장을 각각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