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52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학자인 이덕홍의 시문집. 『간재집(艮齋集)』은 이덕홍(李德弘)[1541~1596]의 시문집으로 1752년(영조 28)에 초간본이 간행되었으며, 1766년(영조 42)에는 중간본이 간행되었다. 모두 8권 4책이며, 5권 3책의 속집도 전한다. 이덕홍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굉중(宏仲), 호는 간재(艮齋)이다. 이황(李...
-
1897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에 정착한 문신인 오여벌의 시문집. 『경암집(敬菴集)』은 영주에 정착한 오여벌(吳汝橃)[1579~1635]의 시문 등을 엮은 책으로, 오여벌의 교우 관계와 역사·철학에 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오여벌의 자는 경허(景虛), 호는 경암(敬菴)·남악(南岳), 본관은 고창(高敞)이다. 경상도 의령에서 아버지 오운(吳澐)과 어머니...
-
1863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성이성의 시문집. 『계서일고(溪西逸稿)』는 성이성(成以性)[1595~1664]의 시문집으로 1863년(철종 14)에 간행되었다. 성이성의 자는 여습(汝習), 호는 계서(溪西),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1627년(인조 5) 문과에 급제한 후 사헌부지평·전라도암행어사·강계부사 등을 지냈다....
-
1955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영의 시문집. 『괴헌집(槐軒集)』은 김영(金瑩)[1765~1840]의 시문집으로 1892년(고종 29)경 편찬되기 시작해 1955년에 편찬·간행되었다. 김영의 자는 의겸(義兼), 호는 괴헌(槐軒),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1804년(순조 4)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종부시주부·자여도찰방·사헌부장령 등을 지...
-
고려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안축의 시문집. 『근재집(謹齋集)』은 안축(安軸)[1282~1348]의 시문집으로 1910년에 중간되었다. 『근재집』의 초간 연대는 명확하지 않다. 초간 이후 여러 차례 중간이 이루어졌는데, 1910년 중간된 『근재집』 함주본이 많이 알려져 있다. 안축의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시호는 문정(文貞), 본관은 순흥(順興...
-
조선 전기 간행된 영주 출신 문신인 황준량의 시문집. 『금계집(錦溪集)』은 황준량(黃俊良)[1517~1563]의 시문집으로 1564년(명종 19)부터 1566년 사이에 초간이 이루어졌다. 황준량의 자는 중거(仲擧), 호는 금계(錦溪), 본관은 평해(平海)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경상도감찰어사·성주목사 등...
-
1955년 간행된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 학자 송상도가 독립운동가의 행적을 기록한 책. 『기려수필(騎驢隨筆)』은 송상도(宋相燾)[1871~1946]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전국 각지의 독립운동가 유족과 친지를 방문하여, 독립운동가의 사적을 조사해서 엮은 책이다. 송상도의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소(聖韶), 호는 기려자(騎驢子)·미헌(眉軒)·연파(蓮坡...
-
186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권두문의 시문집. 『남천집(南川集)』은 권두문(權斗文)[1543~1617]의 시문집으로 1864년(고종 1)에 간행되었다. 권두문의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572년(선조 5)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평창군수·봉상시주부·사섬시정·통례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
1786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학자인 곽진의 시문집. 『단곡집(丹谷集)』은 곽진(郭瑨)[1568~1633]의 시문집으로 1786년(정조 10)에 간행되었다. 문집 끝에는 아들 곽영(郭瓔)의 시문집인 『우주암집(宇宙菴集)』이 첨부되어 있다. 곽진의 자는 정보(靜甫), 호는 단곡(丹谷), 본관은 현풍(玄風)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
-
1836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약련의 시문집. 『두암집(斗庵集)』은 문신 김약련(金若鍊)[1730~1802]의 시문집으로 1836년(헌종 2)에 간행되었다. 김약련의 자는 유성(幼城), 호는 두암(斗庵)·인수(忍叟), 본관은 예안(禮安)[선성(宣城)]이다. 1774년(영조 50)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1776년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
177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개국의 시문집. 『만취일고(晩翠逸稿)』는 김개국(金蓋國)[1548~1603]의 시문집으로 1774년(영조 50)에 간행되었다. 김개국의 자는 공제(公濟), 호는 만취당(晩翠堂),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1591년(선조 24) 식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정랑을 거쳐 군수에 이르렀으며, 영주 삼봉서원...
-
1644년 초간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담의 시문집. 『무송헌집(撫松軒集)』은 김담(金淡)[1416~1464]의 시문집으로 1644년(인조 22)에 초간되었다. 김담의 자는 거원(巨源), 호는 무송헌(撫松軒), 본관은 예안(禮安)[선성(宣城)],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1435년(세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에서 활동하였으며, 이후 이조정랑·경...
-
1774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학자인 김륭의 시문집. 『물암집(勿巖集)』은 김륭(金隆)[1549-1594]의 시문집으로 1774년(영조 50)에 간행되었다. 김륭의 자는 도성(道盛), 호는 물암(勿巖), 본관은 함창(咸昌)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을 지냈다. 좌승지로 추증되었고, 영주 삼봉서원(三峯書院)에 제향되었다. 17...
-
1722년 간행된 조선시대 영주 출신 문신인 김륵의 시문집. 『백암집(栢巖集)』은 김륵(金玏)[1540~1616]의 시문집으로 1772년(영조 48)에 간행되었다. 김륵의 자는 희옥(希玉), 호는 백암(柏巖), 본관은 예안(禮安), 시호는 민절(敏節)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76년(선조 9) 문과에 급제한 후 경상우도관찰사·승정원도승지·성균관대사성·이...
-
1929년 간행된 조선 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인 김난상의 시문집. 『병산집(缾山集)』은 김난상(金鸞祥)[1507~1570]의 시문집으로 1929년에 간행되었다. 김난상의 자는 계응(季應), 호는 병산(缾山), 본관은 청도(淸道)이다. 1537년(중종 32)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후 성균관대사성·사간원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
1600년 초간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박승임의 시문집. 『소고집(嘯皐集)』은 박승임(朴承任)[1517~1586]의 시문집으로 1600년(선조 33) 초간본, 1780년(정조 4) 중간본이 각각 간행되었다. 박승임의 자는 중보(重甫), 호는 소고(嘯皐),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문과에 급제한 뒤 풍기군수·...
-
1810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인 박선장의 시문집. 『수서집(水西集)』은 박선장(朴善長)[1555~1616]의 시문집으로 1810년(순조 10)에 간행되었다. 박선장의 자는 여인(汝仁), 호는 수서(水西), 본관은 무안(務安)이다. 남몽오(南夢鰲)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문과에 급제하여 예안현감·경상도도사 등을 지...
-
1518년 11월 17일부터 1520년 9월 8일까지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황사우가 쓴 일기. 『재영남일기(在嶺南日記)』는 중종 대에 경상도도사를 지냈던 황사우(黃士祐)[1486~1536]가 재임 중에 있었던 일을 날짜순으로 적은 일기이다. 황사우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국보(國輔), 호는 용헌(慵軒)·사우(士佑)이다. 아버지는 황희성(黃希聖),...
-
일제강점기 영주 출신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동진의 시문집. 『정산집(貞山集)』은 김동진(金東鎭)[1867~1952]의 시문집이다. 김동진의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정산(貞山)·이직재(履直齋), 본관은 예안(禮安)[선성(宣城)]이다.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으로 일제강점기 영주 지역의 유풍 진작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유림단의 독립청원운동과 제2차 유림단의...
-
1544년 조선 전기 문신 주세붕이 영주 소수서원의 초창기 기록을 엮어 편찬한 서원지. 『죽계지(竹溪誌)』는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1495~1554]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현 소수서원(紹修書院)]을 건립한 이듬해인 1544년(중종 39)에 백운동서원과 관련된 내용을 엮어 편찬한 책이다. 주세붕의 자는 경유(景游), 호는 신재(愼齋)·남고(南皐)·무릉도인...
-
1776년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응조의 시문집. 『학사집(鶴沙集)』은 김응조(金應祖)[1587~1667]의 시문집으로 1776년(정조 즉위년) 간행되었다. 김응조의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아헌(啞軒),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류성룡(柳成龍)과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623년(인조 즉위년) 알성시 문과에 급제...
-
조선 후기 간행된 영주에서 활동했던 문신인 김봉조의 시문집. 『학호집(鶴湖集)』은 김봉조(金奉祖)[1572~1630]의 시문집으로 1813년(순조 13)에서 1822년(순조 22) 사이에 간행되었다. 김봉조의 자는 효백(孝伯), 호는 학호(鶴湖), 본관은 풍산이다.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에는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을 지켰다. 1613년...
-
1763년 최초 간행된 고려 후기 영주 출신 문신인 안향의 실기. 『회헌실기(晦軒實記)』는 안향(安珦)[1243~1306]의 행적을 엮은 실기이다.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간행이 이루어졌는데, 1922년에 마지막으로 간행된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안향의 초명은 유(裕), 자는 사온(士蘊), 호는 회헌(晦軒), 본관은 순흥,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126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