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시집가는 딸에게 지켜야 할 사항을 미리 일러주는 내용의 가사. 「경계가」는 시집을 가는 딸에게 사대부가의 아녀자가 지켜야 할 덕목을 일일이 가르치는 내용이다. 일종의 계녀(戒女) 가사에 속하는 것으로 시집살이를 해야 하는 여성의 도리를 알기 쉽고 외우기 쉽도록 가사의 형태로 옮겨 놓았다. 「경계가」는 2010년 영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
삼국시대부터 757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급벌산군(及伐山郡)은 삼국시대부터 757년(경덕왕 16) 급산군(岌山郡)으로 명칭이 변경되기 전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일대에 있었던 행정구역이다. 급벌산군은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설치된 행정구역으로 고구려의 영역이었다. 『삼국사기...
-
757년부터 940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된 지방행정구역. 급산군(及山郡)은 757년(경덕왕 16)에 설치되었다. 본래는 고구려 때 급벌산군(及伐山郡)이었다고 한다. 판본에 따라 ‘급산군(岌山郡)’ 혹은 ‘급산군(岋山郡)’으로 기록되어 있다. 757년 군현제(郡縣制)를 강화하고, 명칭을 한자식으로 아화(雅化)하는 과정에서 급벌산군이 급산군으로 변경되었다. 『삼...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수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김흠조 부부묘의 출토유물. 김흠조 부부묘 출토유물(金欽祖夫婦墓出土遺物)은 1997년 3월 영주-안동 간 국도제5호선 확장공사 과정에서 김흠조(金欽祖)[1461~1528] 부부묘를 이장하다가 발견하였다. 김흠조 부부묘 출토유물은 복식류 7종 66점, 문서류 2종 38점, 기타 유물 4종 30점 등 모두 3종...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국망봉에 있는 바위의 신자국 유래에 대한 이야기. 「나막신 신은 배충신」은 국망봉 바위의 신 자국과 관련된 지명유래전설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배충신(裵忠臣)은 조선시대 영주 출신의 배순(裵純)[1534~1614]을 가리킨다. 배순은 무쇠 장인으로서 1608년(선조 41) 선조가 승하하자 삼년상을 지냈다.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에는 배순의...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죽리(內竹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내죽1리, 내죽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속시이[속수], 원단촌, 백운동 등이 있다. 내죽리 지명은 옛 순흥군 내죽면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내죽면 속수리, 원촌리, 죽촌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순흥면 내죽리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현리(德峴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덕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덕고개[덕현], 추목동, 점마 등이 있다. 덕현리 명칭은 덕고개마을에서 유래했다. 조선시대 박동수라는 선비가 처음 마을을 개척할 때, 마을 옆 고개에서 다래와 머루를 따 먹으며 허기를 면한 후 이 고개에 덕(德)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전하는 유교의 이치를 깨닫게 하고자 지은 가사. 「도덕가」는 유교의 성인인 공부자(孔夫子)[공자]의 집을 찾아가 구경하자고 하면서 유교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다. 「도덕가」는 많은 이본이 있지만, 작자나 그 제목이 조금씩 다르다. 이황(李滉)의 「도덕가」는 「궐리가(闕里歌)」라고도 한다. 이 「도덕가」는 2010년 영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배점리(裵店里)는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배점1리, 배점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삼괴정, 웃평장개[上平], 배점[원배점], 뒤실[후곡] 등이 있다. 배점리 명칭은 배점마을에서 유래했다. ‘배점(裵店)’은 이황의 제자 배순이 대장간을 하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전해지는 베를 짜면서 불렀던 민요. 「베틀 노래」는 대부분 베틀의 부분 명칭을 나열하거나 베틀을 의인화하는 가사가 많으나, 영주시 순흥면의 「베틀 노래」는 베틀 한 쌍을 지어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이다. 「베틀 노래」는 베틀의 부분명에 대한 언급이나 베틀을 의인화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달아달아 밝은달아 이태백에 놀던달아”라는 구절...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石橋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석교1리와 석교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돌다리[석교], 웃돌다리[후촌], 동호리, 서당마[당촌] 등이 있다. 석교리 명칭은 돌다리마을에서 유래했다. 마을에 돌로 만든 다리가 있으므로 ‘석교’라 불렀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마을의 형상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죽계천에 위치한 계곡. 석륜암계곡(石崙庵溪谷)은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의 죽계천 최상류에 해당하는 계곡으로, 초암사 부근에서 월전계곡과 만나 죽계천이 된다. 석륜암계곡 명칭은 석륜암(石崙庵)에서 유래했다. 현재 석륜암은 상류에 터만 남아있다. 석륜암계곡은 국망봉(國望峰)[1420.8m]에서 발원한다. 석륜암계곡의 북동...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지역 농민들이 개항기부터 운영하는 농촌자치조직. 순흥초군청(順興樵軍廳)은 영주시 순흥면 지역 농민들의 농촌 조직으로, 농민들의 권익을 보호하며, 사회질서를 바로잡고, 마을 간의 결속과 단합을 도모하여 지역 사회의 결속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농부들의 품삯과 머슴의 새경을 정하거나 동네 부역을 관장하는 한편 성황제, 줄다...
-
1994년 간행된 조선시대 순흥도호부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한 향토지. 『순흥향토지(順興鄕土誌)』는 1994년 간행된 향토지로, 송지향(宋志香)이 조선시대 순흥도호부를 비롯하여 현대 영풍군 순흥면의 역사와 문화를 총정리하였다. 1991년 영풍군 순흥면 읍내리[지금의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가 문화부로부터 문화마을로 지정되었다. 이에 영주시는 순흥 지...
-
1348년부터 1413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순흥부(順興府)는 1348년(충목왕 4)부터 1413년(태종 13)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일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이다. 충목왕의 태(胎)가 안치된 고을이라는 이유로 순흥부로 승격이 이루어졌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권150 지리지 경상도 순흥도호부(順興都...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1871년 흥선대원군이 외세를 배척하고자 세운 비석. 순흥 척화비(順興斥和碑)는 1871년(고종 8) 4월 신미양요를 겪은 직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명에 따라 한양 종로를 비롯하여 전국 주요 도로변에 건립된 척화비 가운데 하나이다. 순흥 척화비는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1991년 5월 14일 경상북도...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전해지는 여성의 시집살이와 관련해서 부르던 민요. 「시집살이 노래」는 「진주 낭군」으로 유명한 노래이며, 「서답 노래」인 빨래 노래로도 불린다. 한강물에 빨래하는 장면, 남편의 외도, 아내의 자살 등의 요소를 필수로 하여 변형된 노래가 많이 분포되어 전한다. 영주시 순흥면의 「시집살이 노래」는 한강물에 빨래하러 간 며느리의...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전해지는 순결을 의심받은 처녀가 자신의 억울함을 노래하는 민요. 「쌍금쌍금 쌍가락지」는 영남 민요 중 가장 보편적이며 아름다운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순결을 의심받은 처녀가 죽음으로 자신의 억울함을 항변하는 노래로, 열녀가 혹은 열녀가 아래의 정렬가(貞烈歌)로 분류되는 유희요이다. 쌍가락지는 혼인의 정표로 주고받는 상징물이다. 주로...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순흥초군청의 전통을 토대로 정월 대보름에 개최하는 민속축제. 영주 순흥초군청 민속문화제의 뿌리인 순흥초군청은 지역 농민들의 협업을 위한 사회망 형성과 지역 전통의 전승 주체로서 역할을 했던 민간 조직이다. 순흥초군청 설립의 근본적 배경은 19세기 말 토지 소유 관념의 변화로 대두된 토지 이용권 분쟁과 직결된다. 조선시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매년 개최되는 문화축제. 영주한국선비문화축제는 2008년 제1회 축제를 시작하였다. 우리 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유교 문화와 옛 선비 정신과 삶의 풍류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들로 이뤄진 지역 고유의 문화축제이다. 선비의 정신과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선비의 고장, 영주에서는 사라져가는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선비...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전해지는 우미인을 노래한 가사. 「우민가」는 「우미인가(虞美人歌)」라고도 한다. 『초한지(楚漢志)』에서 항우(項羽)를 위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우희(虞姬)의 심정을 드러낸 작품이다. 2010년 영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영주시사』2에 수록되어 있으며, 제보자는 구난옥[보암댁]이다. 「우민가」는 모두 18행의 4·4조...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죽계천에 위치한 계곡. 월전계곡(月田溪谷)은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의 죽계천 최상류에 해당하는 계곡이다.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흘러 죽계구곡으로 합류한다. 월전계곡 명칭은 상류에 있는 달밭골에서 유래했다. ‘달밭골’의 한자 표기가 ‘월전동(月田洞)’으로, 월전동을 흐르는 계곡이라 하여 ‘월전계곡’이라 불린다....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읍내리(邑內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읍내1리, 읍내2리, 읍내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서부[衙薪], 학다리[학교], 사현정 등이 있다. 읍내리 명칭은 옛 순흥도호부 읍치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대평면 아신리, 봉양리, 성하리, 사현정리와 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전하는 선비 정이간과 숙종의 이야기. 「정이간과 춘추」 이야기에서 나오는 정이간(鄭易簡)은 숙종의 도움으로 과거에 합격한 것이나 다름없었지만, 친구의 꼬임에 빠져 낙방하고 말았다고 한다. 숙종은 민심을 살피기 위해, 평복을 입고 잠행을 자주 나갔는데 그때 만난 백성들과의 이야기가 많이 있다. 그중 글을 읽던 선비와 과거시험과 관련된 이...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전하는 정희량 장수에 대한 이야기. 「정희량과 일조봉」은 영주시 순흥면에 전해 내려오는 아기장수전설의 한 유형이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정희량(鄭希亮)[?~1728]은 경상도 안음현(安陰縣) 출신이지만, 1728년(영조 4) 무신난(戊申亂)이 일어나기 직전 순흥 죽계에 머무르고 있었다. 실제 정희량은 이야기와 달리 무신난 때 안음·거창·...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수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주세붕의 초상화. 주세붕 초상(周世鵬肖像)은 문신 주세붕(周世鵬)[1495~1554]의 초상화로 16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주세붕 초상은 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에 보관 중이었으나, 현재는 소수박물관으로 옮겨져 관리되고 있다. 초상의 주인공인 주세붕은 1541년(중종 36)에 풍기군수로 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발원하여 창진동에서 서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죽계천(竹溪川)은 경상북도 영주시를 흐르는 유로연장 22.41km, 유역면적 157.55㎢의 지방 2급 하천이다. 죽계천 상류에는 조선시대 이황이 그 절경에 감탄하여 이름 붙인 죽계구곡이 있다. 죽계천 명칭은 하천의 발원지인 죽령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광여도』와 『영남지도』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동리(池洞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지동1리, 지동2리, 지동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못골[지동리], 재배이[再芳], 꽃가리, 밤쑤, 죽동, 호방골, 다래실 등이 있다. 지동리 명칭은 못골에서 유래했다. 목동지, 지곡지, 재방지, 지동못 등 못[池]이 많아 ‘지동(池洞)...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산. 지래봉[602.4m]은 영주시 순흥면 덕현리·배점리·내죽리의 경계에 있는 봉우리로, 영주 소수서원에서 북서쪽에 있다. 지래봉은 국망봉[1420.8m]에서 능선을 따라 동쪽으로 이어지는 참신내기재의 남동쪽 능선에 솟은 봉우리이다. 옥녀봉-국망봉-상월봉[1,396m]-지래봉을 분수령으로 하는 지래봉 서쪽의 유역분지를...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구리(靑邱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청구1리, 청구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놋점[옥계], 여근동[광문동] 등이 있다. 청구리 명칭은 옛 순흥군 내죽면 지역을 청구들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흥군 내죽면 옥계리와 여근리를 병합하여 영주군...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태장리(台庄里)는 영주시 순흥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태장1리, 태장2리, 태장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상태장, 중태장, 하태장[지경터], 한상골, 거묵골[墨谷] 등이 있다. 태장리 명칭은 고려시대 충렬왕, 충숙왕, 충목왕의 안태지(安胎地)에서 유래했다. 삼공(三公)을 뜻하는 태(台)와...
-
1274년부터 1313년까지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흥녕현(興寧縣)은 1274년(충렬왕 즉위년)부터 1313년(충숙왕 즉위년)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일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이다. 충렬왕의 태(胎)가 안치된 고을이라는 이유로 흥주에서 흥녕현으로 승격이 이루어졌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권150 지리지 경상도...
-
고려 초기부터 원간섭기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영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 흥주(興州)는 940년(태조 23)부터 1274년(충렬왕 즉위년), 1313년(충숙왕 즉위년)부터 1348년(충목왕 4) 사이에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일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구역이다. 고려는 후삼국 통일 직후 지방의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호족 세력의 공과(功過)를 고려해...